[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 강 江 강 상류 → 내 위쪽 / 윗물 강이 흐르다 → 내가 흐르다 강을 건너다 → 내를 건너다 강이 범람하다 → 가람이 넘치다 강을 따라 기암절벽이 펼쳐졌다 → 물을 따라 벼랑이 나온다 ‘강(江)’은 “넓고 길게 흐르는 큰 물줄기”를 가리킨다지요. ‘가람’이나 ‘내·냇물’이나 ‘물·물길·물줄기’로 손질합니다. ㅅㄴㄹ 별들도 강물 위에 몸을 던졌다 → 별도 냇물에 몸을 던졌다 《새벽편지》(정호승, 민음사, 1987) 13쪽 뉴잉글랜드의 강에 투신자살 했다 → 뉴잉글랜드 냇물에 뛰어들었다 → 뉴잉글랜드 냇물에 몸을 던졌다 《가버린 부르조아 세계》(나딘 고디머/이상화 옮김, 창작과비평사, 1988) 148쪽 강 위에 살얼음이 깔리고 → 냇물에 살얼음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 약 藥 약을 바르다 → 꽃물을 바르다 약을 조제하다 → 살림물을 짓다 밭에 약을 쳤다 → 밭에 죽임물을 쳤다 여간한 약으로는 죽지 않는다 → 웬만한 죽임물로는 죽지 않는다 사슴을 보고 약을 재어 쐈다 → 사슴을 보고 불을 재어 쐈다 약을 잔뜩 묻힌 구두 → 빛물을 잔뜩 묻힌 구두 약에 손을 대다 → 꽃물에 손을 대다 약이 다 닳다 → 밥이 다 닳다 약이 다 돼서 멈추다 → 밥이 다 돼서 멈추다 다 약이 되는 말이니 → 다 이바지하는 말이나 쓴 경험이 나중에는 약이 된다네 → 쓴맛이 나중에는 돕는다네 뼈다귀는 고면 약이 되네 → 뼈다귀는 고면 좋다네 ‘약(藥)’은 “1. 병이나 상처 따위를 고치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먹거나 바르거나 주사하는 물질 ≒ 약품 2. 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 변하다 變 눈이 비로 변하다 → 눈이 비로 바뀌다 / 눈이 비가 되다 왕자가 야수로 변했다 → 꽃님이 사납게 바뀌었다 / 빛님이 갑자기 무섭다 검은색으로 변하고 있다 → 검은빛으로 바뀐다 / 검정으로 된다 흐느낌으로 변했다 → 흐느낀다 웃음으로 변하며 → 웃음으로 바뀌며 / 웃으며 회색으로 변한 → 잿빛으로 바뀐 / 잿빛이 된 거칠게 변하다 → 거칠게 바뀌었다 / 거칠다 입맛이 변하다 → 입맛이 달라지다 / 입맛이 바뀌다 안색은 노랗게 변했다 → 얼굴빛이 노랗다 어떻게 변할지는 → 어떻게 바뀔지는 / 어떻게 달라질지는 / 어떻게 될지는 예쁘게 변했다 → 예쁘다 전쟁터같이 변하고 → 싸움터같이 바뀌고 / 싸움터같이 되고 낱말책에서 ‘변하다(變-)’를 찾아봅니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 기 氣 기가 죽다 → 풀이 죽다 기가 나다 → 힘이 나다 기가 왕성하다 → 기운이 넘치다 / 한창 끓다 기가 쇠하다 → 기운이 빠지다 / 끓지 않다 기가 질려서 → 질려서 기를 꺾었다 → 기운을 꺾었다 / 흐름을 꺾었다 ‘기(氣)’는 “1. 활동하는 힘 2. 숨 쉴 때 나오는 기운 3. 예전에, 중국에서 15일 동안을 이르던 말. 이것을 셋으로 갈라 그 하나를 후(候)라 하였다 4. [철학] 동양 철학에서 만물 생성의 근원이 되는 힘. 이(理)에 대응되는 것으로 물질적인 바탕을 이른다”처럼 풀이합니다. ‘힘·기운·심’이나 ‘용·악’이나 ‘풀·몸·줄기’로 손질합니다. ‘끓다·불·불길’이나 ‘빛·빛살’로 손질할 만하고, ‘너울·물결·바람·흐름’이나 ‘낌새·눈치·느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 속하다 屬 상류층에 속하다 → 위쪽에 있다 / 위에 들다 미인형에 속하는 편이다 → 예쁜 얼굴이라 할 만하다 / 고운 얼굴에 든다 미개척 분야에 속하다 → 손닿지 않은 곳이다 / 파헤치지 않은 곳이다 그 고장은 여기에 속한다 → 그 고장은 여기에 든다 고기류에 속하다 보니 → 고기붙이에 들다 보니 / 고기 가운데 하나이다 보니 네가 속한 모임 → 네가 있는 모임 / 네가 들어간 모임 / 네가 일하는 모임 ‘속하다(屬-)’는 “관계되어 딸리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관계(關係)되다’는 ‘이어지다’나 ‘얽히다’를 가리킵니다. 그러니 ‘딸리다·이어지다·얽히다’나 ‘깃들다·끼다·넣다·놓다’나 ‘두다·도사리다·삼다·서리다·어리다’로 손볼 만합니다. ‘있다·계시다·이다·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 -원 員 사무원 → 일꾼 공무원 → 벼슬꾼 / 벼슬아치 연구원 → 살핌이 / 익힘이 구성원 → 무리 / 떼 / 사람들 조합원 → 모임사람 / 두레님 회사원 → 일꾼 / 일살림꾼 ‘-원(員)’은 “1. ‘그 일에 종사하는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 ‘그 조직이나 단체 따위를 이루고 있는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사람’이나 ‘-꾼·-님·-지기’로 손봅니다. ‘-바치·-아치·-보’나 ‘일꾼·일살림꾼’으로 손보아도 되어요. ㅅㄴㄹ 천문학적인 액수를 찍어 놓은 인내심 많은 계산원이 기다리거나 말거나 → 엄청난 값을 찍어 놓고 잘 참는 셈지기가 기다리거나 말거나 → 어마어마한 값을 찍어 놓고 꾹 참는 셈일꾼이 기다리거나 말거나 →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 욕 辱 욕을 먹다 → 헐뜯기다 아무에게나 욕을 퍼붓는 → 아무한테나 막말을 퍼붓는 극단적인 욕으로부터 시작되는 수가 많았다 → 모딘 삿대말부터 하는 수가 잦았다 아버지에게 욕을 들을 만하다 → 아버지가 나무랄 만하다 욕을 당하던 한을 풀었다 → 창피한 설움을 풀었다 이렇게 욕되게 사느니 → 이렇게 짓뭉개져 사느니 친구에게 바보라고 욕하다 → 동무를 바보라고 까다 ‘욕(辱)’은 “1. = 욕설 2. 아랫사람의 잘못을 꾸짖음 3. 부끄럽고 치욕적이고 불명예스러운 일 4. ‘수고’를 속되게 이르는 말”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거친말·구정말·구지레말·깎음말·낮춤말·더럼말’이나 ‘까다·왁·왁왁·왁왁거리다·악다구니’나 ‘꾸중·지청구·나무라다’로 손볼 수 있어요. ‘뒷말·뒷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반 半 한 달 반 → 한 달 보름 두 배 반 → 두 곱 가운 한 시간 반 정도의 거리 → 한 시간하고 더 가는 길 일을 반쯤 하다 → 일을 가운치쯤 하다 종이를 반으로 접다 → 종이를 갈라서 접다 시작이 반이라는데 → 처음이 가운몫이라는데 반팔 → 가운팔 반자동 → 거의 절로 반죽음 → 거의 죽음 반나체 → 거의 벗음 반노예 → 거의 종 ‘반(半)’은 “1. 둘로 똑같이 나눈 것의 한 부분 2. 일이나 물건의 중간쯤 되는 부분 3. ‘절반 정도’의 뜻을 나타내는 접두사 4. ‘거의 비슷한’의 뜻을 나타내는 접두사”라고 합니다. 이 말씨는 ‘거의·마치·얼마·그저’나 ‘-다시피·-처럼·-같이’나 ‘닮다·비슷하다·같다·똑같다·나란히’로 손볼 만하고, ‘가르다·나누다·노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의하다 依 노동에 의한 소득 → 일벌이 / 일해서 얻은 소득 전쟁에 의한 참화 → 잿더미 / 싸움 불구덩이 사상은 언어에 의하여 표현된다 → 생각은 말로 나타낸다 소문에 의하면 → 얘기에 따르면 / 말을 들으면 / 들리기로는 실천에 의하여 검증된다 → 해봐야 안다 / 해보면서 밝혀진다 밝혀진 바에 의하면 → 밝혀진 바를 보면 / 밝혀진 바로는 ‘의하다(依-)’는 “무엇에 의거하거나 기초하다. 또는 무엇으로 말미암다”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의거(依據)하다’는 “어떤 사실이나 원리 따위에 근거하다”라 하고, ‘기초(基礎)하다’는 “근거를 두다”라 하니, 낱말책 말풀이는 겹말풀이인 셈입니다. ‘근거(根據)’는 “1. 근본이 되는 거점 2. 어떤 일이나 의논, 의견에 그 근본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4 양 量 양이 많다 → 많다 / 부피가 많다 필요한 양만큼만 → 쓸 만큼만 / 있어야 하는 만큼만 구름양 → 구름 부피 / 구름결 양이 차다 → 배가 차다 / 다 차다 / 가득 차다 알맞은 양만큼 먹어라 → 알맞도록 먹어라 / 알맞게 먹어라 양이 매우 큰 사람 → 그릇이 매우 큰 사람 ‘양(量)’은 “1. 세거나 잴 수 있는 분량이나 수량 2. 분량이나 수량을 나타내는 말 3. 음식을 먹을수 있는 한도 4. = 국량(局量)”을 나타낸다고 해요. ‘부피’로 손보면 되고, ‘그릇’으로 손볼 수 있는데, 흐름을 살펴 털어낼 만합니다. ‘양껏’이라면 ‘한껏·실컷·잔뜩·가득·마음껏’으로 손보면 되고, “많은 양을”은 “많이”로 손봅니다. 많은 양을 딸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