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한실 글님 ] 푸른배달말집을 펴내며 오늘날 우리가 쓰는 말은 일본말에서 들어온 말을 으뜸으로 많이 쓰고 우리 겨레말은 어쩌다가 쓰는 말살이를 합니다. 이렇게 된 까닭은 종살이(식민지생활)는 벗어났지만, 종살이배움(식민지교육)은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배곳(학교)에서 배우는 말이 거의 모두 일본말에서 건너온 한자말입니다. 요즘은 한자를 안 쓰고 한글로 쓰니, 이를 한글왜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한글왜말은 배곳에서 책으로 배운 글말을 입말로 쓰면서 우리말이 더럽혀졌습니다. 배곳에서 가르치고 새뜸(신문)에서 쓰고 널냄(방송)에서 말하며, 나라살림살이말(행정용어)과 모든 책에 한글왜말을 쓰니, 백성들이 다 우리말인 줄 압니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말이 아닙니다. 한글왜말을 종살이할 때는 조선왜말이라 불렀습니다. 왜종살이가 끝났으면 왜말을 버리고 우리말을 찾아쓰고, 배곳에서도 우리말을 가르치고 배워야 마땅한데도, 종살이에서 벗어난지 여든해가 가까웠는데도 아직 배곳에서는 왜말을 가르치고 배웁니다. 거기다가 나라일꾼(공무원)들도 일본사람들이 쓰던 왜말을 그대로 쓰고 있으니, 배우는 아이들도 물들어 온 나라 모든 사람이 왜말살이하는 겨레가 되었습니다. 제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 숲노래 말넋 말꽃삶 20 집옷밥 밥옷집 옷밥집 저는 어른이란 몸을 입은 오늘날에도 ‘의’를 소리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한동안 생각하고 가다듬고서야 비로소 ‘의’를 소리냅니다. 혀짤배기에 말더듬이란 몸으로 태어나고 자란 터라, 어릴 적에는 더더욱 고단했습니다. 가만히 돌아보면, 요새는 둘레에서 이모저모 ‘입 속에서 혀랑 이를 어떻게 놀리면 되는가’를 밝히거나 알려주는 이웃을 쉽게 만날 만하고, 지난날에는 ‘‘의’를 비롯한 여러 소리를 어떻게 내면 되는가’를 차근차근 보여주거나 알려준 이웃을 만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을식주 으식주 ‘을식주’는 무엇이고 ‘으식주’는 뭘까요? 제가 어린배움터(국민학교)를 다니던 1982∼87년 무렵에는 날마다 시키고 때리는 길잡이(교사)가 많았습니다. ‘시험’이란 이름이 붙은 일도 끝이 없었는데, ‘중간시험·기말시험’뿐 아니라 ‘월말시험·쪽지시험’이 꼬박꼬박 뒤따랐어요. 어느 갈래 어느 시험인지는 어렴풋하지만, ‘의식주’로 풀이(답)를 적어야 하는 일(문제)이 있었고, 적잖은 또래는 ‘을식주·으식주’처럼 틀린 풀이를 적었습니다. 예전 배움터에서는, 이처럼 틀린 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 말꽃삶 19 탈가부장, 갇힌 말을 깨우다 조선이란 이름을 쓰던 나라는 500해에 걸쳐서 ‘중국 섬기기’를 했고, 이 나라 사람을 위아래로 갈랐습니다. 중국을 섬기던 조선 나리하고 벼슬꾼은 집안일을 순이한테 도맡기고, 나라일은 돌이만 도맡는 틀을 단단히 세웠지요. 곰팡틀(가부장제)을 일삼았습니다. 나리·벼슬꾼이 나아가는 곰팡틀은 한문만 글이었습니다. 세종 임금이 여민 ‘훈민정음’은 ‘중국말을 읽고 새기는 소릿값’으로 삼는 데에 그쳤어요. 오늘날 우리가 안 쓰는 ‘훈민정음’이 제법 있습니다. 우리 소릿값이 아닌 중국 소릿값을 담아내는 틀이었기에, 굳이 살릴 까닭이 없어서 하나씩 사라졌습니다. 무엇보다도 여느사람(백성·평민)은 글(한문)을 못 배우도록 틀어막았습니다. 조선이란 나라가 아닌, 고구려·백제·신라·발해·가야·부여에서도 나리하고 벼슬꾼은 집안일을 안 했을 테지만, 곰팡틀까지 일삼지는 않았어요. 이 곰팡틀은 이웃나라 일본이 총칼로 쳐들어오며 외려 더 단단하였고, 일본이 물러간 뒤에도 서슬퍼런 총칼나라(군사독재)가 잇는 바람에 곰팡틀을 걷어낼 틈이 없었습니다. 우리나라는 곰팡틀을 이제 겨우 걷
[ 배달겨레소리 한실 글님 ] 한글왜말 왜말은 왜말인데 한글로 써 있어 우리말인 줄 잘못 아는 말이 한글왜말이다. 왜종살이가 끝나 나라를 되찾았을 때 이 왜말을 다 버렸어야 옳았다. 왜놈들에 빌붙어 살던 무리들이 종살이 벗어난 뒤에도 쫓겨나지 않고 높은 자리를 차지하고 앉아서 말살이를 내내 왜말살이하는 쪽으로 힘을 미쳤다. 똑같은 왜말을 소리만 우리 소리로 내고 말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쓰면서 배곳(학교)에서 아이들에게 왜말을 가르치고 새뜸(신문)과 널냄(방송)에서도 그대로 왜말을 쓰고 나라살림살이말(행정용어)에도 그대로 왜말을 써서 오늘에 이르렀다. 그러다보니 거의 모든 말마디가 한글왜말로 되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문명, 과학, 자연, 환경, 정신, 식물, 동물, 생물, 생명,,,. 우리가 쓰는 거의 모든 말이 한글왜말이다. 우리말은 이것과 사뭇 다르다. 위에 적은 말을 우리말로 하면 다스림, 살림, 모임, 삶꽃, 삶빛, 갈, 누리, 터전, 마음, 푸나무, 숨받이, 산것, 목숨이다. 마치 우리가 외이프라고 말할 때 와이프가 우리말이 아니고 아내가 우리말이듯이, 한글왜말은 니혼 사람들이 만들어 저들이 쓰던 말인데, 억지로 우리더러 쓰게 해서 우리
[ 배달겨레소리 한실 글님 ] · 벗장이 '-장이'란 뒷가지는 어떤 낱말 뒤에 붙어 그것을 만들거나 다루는 손재주가 있는 사람을 뜻한다. 쇠를 달구어 연장 따위를 만드는 일을 대장일이라 하는데, 대장일을 잘 하거나 대장일을 해서 먹고 사는 사람을 대장장이라 한다. 마찬가지로 쇠붙이 그릇이나 연장이 구멍이 나거나 부러진 것을 때워 주는 일을 하는 이를 땜장이아 한다. 돌을 잘 다루는 이는 돌장이, 집을 짓거나 고칠 때 바닥이나 바람, 보꾹에 흙이나 돌가루를 바르는 일을 하는 사람은 미장이라 한다. 그러면 벗장이는 무엇을 잘 하는 사람일까? 손으로 무엇을 만들거나 다루는 일을 배우고 익혔지만 아직 서툴러서 장이처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이나 일을 배우다 그만둔 사람을 벗장이라 한다. '벗어난' 장이란 뜻이다. 장이는 장이인데 벗어난 장이가 벗장이이다. 한글왜말로 하면 미숙련공을 뜻하는 말이다. 벗장이 얼마나 멋있고 아름다운 말인가! · 덤받이 사람살이에는 온갖 일이 일어난다. 짝을 맺어 잘 살다가도 어느날 갑자기 가시나 버시가 죽을 수도 있다. 아들이나 딸을 두고 한쪽이 죽으면 그냥 살 수도 있지만 새짝을 만나 새로 살림을 꾸릴 수도 있다. 그러면 아이들한테는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말넋 곁말 81 새책 책을 조용히 즐기는 길을 가리라 생각하면서 살다가 서른 살을 앞두고 손수 쓴 책을 처음으로 내놓습니다. ‘손수 쓴 꾸러미’는 제법 많습니다만, 따로 책집에 안 넣었어요. 열 해 남짓 혼책(독립출판물)을 즈믄(1000) 가지 즈음 엮어서 둘레에 나누기만 할 뿐 ‘값을 붙인 새책’에는 마음이 없었어요. 2004년에 《모든 책은 헌책이다》를 선보였는데, 몇 해 동안 여러 펴냄터에서 책을 내자고 다가온 말을 다 뿌리치고서 숲책(생태환경책)을 여미는 작은 펴냄터를 살펴서 내놓았어요. 책을 내며 글삯을 안 받았어요. 되레 책을 잔뜩 사서 나라 곳곳 책집지기님한테 하나씩 건네었어요. 어제를 읽는 헌책은 모레로 가는 새책인 줄 배웠으니, 더 신나게 배우려는 마음이었습니다. 우리 낱말책을 펴면 ‘신간·신서·근간’ 같은 한자말은 버젓이 싣되, ‘새책’처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말넋 곁말 80 뜻글 한글은 ‘소리글’이라고 하고, 온누리 모든 소리를 담아낼 수 있다고 여깁니다. 그런데 ‘글·그림·그리다·그릇’은 뜻이 맞물립니다. ‘말·마음·맑다·마을’도 뜻이 맞물려요. 소리는 같되 뜻이 다른 ‘눈(보는눈)·눈(눈송이)·눈(잎눈·꽃눈)’이 있고, ‘배(배꼽)·배(배나무)·배(거룻배)’가 있어요. 이밖에도 소리는 같으면서 뜻이 다른 ‘쓰다·차다·거르다·바르다·고르다’ 같은 낱말이 수두룩합니다. 우리나라 한글이 소리글이기만 하다면 “소리는 같되 뜻이 다른 말”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한글은 소리글이면서 뜻글이라고 느낍니다. ‘ㅏ’하고 ‘ㅓ’도, ‘ㅣ’하고 ‘ㅡ’하고 ‘·’도 소리일 뿐 아니라 뜻이 깃들어요. ‘하늘·한·해·함께·하얗다·하나’도 소리일 뿐 아니라 뜻입니다. 한글은 ‘뜻소리글(뜻글 + 소리글)’이라 해야 올바르리라 봅니다.…
[ 배달겨레소리 관리자 글님 ] 굴림대 : (이름씨) 무거운 몬을 옮길 때 그 밑에 깔아 굴리는 둥근 나무. 굴림방 : (이름씨) 다달이 돈을 내고 남집에 오래 머물면서 먹고자고 하는 일. 또는 그 집. ←하숙. 굼뉘 : (이름씨) 바람이 불지 않을 때 이는 큰 물결. ㉥밀물과 썰물이 갈마드는 까닭으로 굼뉘가 생긴다. 굴레미 : (이름씨) 나무로 만든 수레바퀴. ㉥땅이 고르지 않아 소달구지 굴레미가 몹시 흔들린다. 굴리개 : (이름씨) 동글넙적한 널 두 쪽 사이 굴대에 실 한쪽 끝을 묶고 다른 쪽 실 끝을 쥐고 오르 내리게 굴리는 장난감. ←요요. 굴렁쇠 : (이름씨) 아이들 놀잇감으로 쇠붙이나 대나무로 만든 둥근 테. 굴렁대나 쇠꼬챙이로 밀어 굴린다. 굴대 : (이름씨)두 수레바퀴 한가운데 구멍에 끼우는 긴 막대. 굴대받이 : (이름씨) 돌뮘이나 곧금뮘을 하는 굴대를 받치는 것. ←베어링. 굴뚝같다 : (그림씨) 하고 싶은 마음이 아주 세다. ㉥마음은 굴뚝 같았지만 차마 입을 못 열었다.
[ 배달겨레소리 관리자 글님 ] 곧금 : (이름씨) 휘거나 꺾이지 않은 똑바른 금. ←직선. 곧눔 : (이름씨) 잔잔한 물처럼 판판한 꼴. ㉥ 물은 다 곧눔을 이루는 바탈(성질)이 있다. ←수평. 곧눈금 : (이름씨) 물과 하늘이 맞닿아 살피를 이루는 금. ←수평선. 곧눔낯 : (이름씨)고요한 물 겉 낯. ←수평면. 곧눔자 : (이름씨) 집지을 때 땅이나 문틀 따위 곧눔을 재는 자. ㉥집지을 때는 곧눔자를 써서 땅 이 곧눔인지 기둥이 곧섬인 지를 잰다. ←수평자. 곧모 : (이름씨) 두 곧금이 만나 이루는 90데 모. ←직각. 곧섬 : (이름씨) 금과 금, 금과 낯, 낯과 낯이 곧모를 이루는 것. ←수직. 곧섬금 : (이름씨) 어떤 곧금이나 판판낯과 곧모를 이루는 곧금. ←수선. 수직선.
머리말 섬나라 사람들 종살이에서 벗어난 지 여든 해 가까이 되었습니다. 지난 여든 해 동안 한글만 쓰자, 한자 섞어 쓰자고 물고 차고 싸운 뒤끝은 이제 저절로 한글만 쓰자 쪽으로 오롯이 되었습니다. 오늘날 누구도 말글살이에 한자 쓰자는 사람들이 힘을 떨치기는 어렵습니다. 아직도 몇몇 힘깨나 쓰는 이들이 어떻게든 한자를 배워 써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지만 큰 흐름을 되돌릴 수 없습니다. 이것만 보면 우리말을 붙잡는 우리글이 이겼으니 우리말도 덩달아 좋아졌다고 여길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속내를 들여다보면 우리말을 다 잃어버렸습니다. 말살이에서 니혼 한자말과 하늬 꼬부랑말이 말 줄기를 차지하고 우리말은 가뭄에 콩나듯 합니다. 지난 여든 해 동안 우리말을 가르치지도 배우지도 쓰지도 않은 열매입니다. 갈수록 니혼 한자말과 유에스 꼬부랑말이 말살이에서 늘어나 와이프니, 주방이니, 멘토니, 고객이니 하며 왜말 하늬말을 씁니다. 배곳에서 니혼말과 꼬부랑말을 가르치고 우리말은 헌신짝처럼 버린 뒤끝입니다. 한 겨레가 사람답게 살고, 임자답게 살려면 겨레 얼이 살아있고 겨레 줏대가 서 있어야 합니다. 겨레얼과 겨레줏대는 겨레말 속에 담겨 있습니다. 겨레말을 쓰지 않으면서 겨레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