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한실 글님 ]
푸른배달말집을 펴내며
오늘날 우리가 쓰는 말은 일본말에서 들어온 말을 으뜸으로 많이 쓰고 우리 겨레말은 어쩌다가 쓰는 말살이를 합니다. 이렇게 된 까닭은 종살이(식민지생활)는 벗어났지만, 종살이배움(식민지교육)은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배곳(학교)에서 배우는 말이 거의 모두 일본말에서 건너온 한자말입니다. 요즘은 한자를 안 쓰고 한글로 쓰니, 이를 한글왜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한글왜말은 배곳에서 책으로 배운 글말을 입말로 쓰면서 우리말이 더럽혀졌습니다. 배곳에서 가르치고 새뜸(신문)에서 쓰고 널냄(방송)에서 말하며, 나라살림살이말(행정용어)과 모든 책에 한글왜말을 쓰니, 백성들이 다 우리말인 줄 압니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말이 아닙니다. 한글왜말을 종살이할 때는 조선왜말이라 불렀습니다. 왜종살이가 끝났으면 왜말을 버리고 우리말을 찾아쓰고, 배곳에서도 우리말을 가르치고 배워야 마땅한데도, 종살이에서 벗어난지 여든해가 가까웠는데도 아직 배곳에서는 왜말을 가르치고 배웁니다. 거기다가 나라일꾼(공무원)들도 일본사람들이 쓰던 왜말을 그대로 쓰고 있으니, 배우는 아이들도 물들어 온 나라 모든 사람이 왜말살이하는 겨레가 되었습니다.
제가 우리말이 이렇게 뒤틀린 것에 눈을 뜬 것은 스무 해쯤 됩니다. 잉글말(영어)로 된 스승 가르침을 우리말로 뒤치다가 왜 이렇게 우리말이 뒤죽박죽이지? 하고 헝클어진 우리말에 눈을 떠, 우리말을 다듬어 보려고 애썼는데 갈수록 이 일이 어마어마한 무게로 다가왔습니다. 처음에는 깨달은 분 가르침을 쉬운 우리말로 나타낼 수 있으면 가슴에 쏙 들어오겠다 싶어 그 가르침을 쉬운 우리 겨레말로 뒤치는 일에만 힘을 쏟았습니다. 그런데 말을 다루다 보니 끝내 거의 모든 말을 다루게 되었어요. 우리나라에서 나온 웬만한 말집(사전)은 다 사다 놓고 펼쳐보았지만, 거의 모든 말집이 한자말만 잔뜩 올려놓고, 그 풀이도 돌려막기 풀이가 많아 파고들수록 헷갈렸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이라도 쉽게 알 수 있는 우리말 말집을 펴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지요.
일찍이 이오덕님은 일하는 여름지기(농민)들이 일하면서 배워 익힌 삶말이 깨끗한 우리말이라고 말했습니다. 책에서 글을 읽으면서 배워 익힌 글말이 아니라 놀고 일하며 살아가는 가운데 배워 익힌 입말이 참 우리말이라는 것이지요.
우리 겨레는 예로부터 우리글이 없어서 이웃 나라 글자인 한자를 받아들여 때로는 우리말 소리를, 때로는 그 뜻을 한자를 빌어 적어 왔습니다. 처음에는 우리말을 적어놓으려고 빌어다 쓴 글이 차츰 입말로도 쓰며 우리말에 한자말이 섞여 듭니다. 그러나 이것은 얼마되지 않았고, 웃대가리들만 그렇게 썼기 때문에 일하며 살아가는 백성 말에는 내내 깨끗한 우리말이 뉘뉘로 이어져 내려 왔지요.
그런데 서른여섯 해 왜 종살이 동안에는 왜사람들이 우리 겨레말을 없애려고 했기 때문에 일본말을 ‘국어’란 이름으로 가르치고, 그 말을 쓰게 해서 적잖은 사람이 왜말에 물들었습니다. 그렇더라도 나라를 찾았을 때 왜말에 물든 사람들은 열에 한둘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오늘처럼 우리 겨레가 왜말살이하게 된 것은 나라를 찾은 뒤 지난 여든해 동안 왜말을 버리지 못하고 이 왜말을 배곳에서 이어 가르치고 써 온 때문입니다. 닷즈믄 해(5천년) 훨씬 넘게 써온 우리 겨레말이 뿌리에서부터 흔들리는, 어쩌면 우리 말을 통째로 잃어버릴지도 모르는 대단히 바드러운(위태로운) 때를 맞고 있습니다. 푸른배달말집은 우리말이 놓인 이런 바드럽고, 과가른(절박한) 어려움을 깨뜨리고 우리말을 살려내야 할 때를 맞았다고 느껴 지었습니다. 또한 글쓴이처럼 우리말살이 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펴내었습니다.
한자말 두 글자나 세 글자가 붙은 낱말은 거의 모두 한글왜말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사상, 노동, 농사, 농업, 협동, 조합, 이해, 이유, 의미, 언어, 운동, 환경, 생태, 귀농...... 이런 말들 이거 다 한글 왜말입니다. 푸른배달말집에 이런 말들은 모두 ->(화살표)를 하고 우리말로 다듬어 바로 잡았습니다. 곧 이런 한글 왜말은 더는 쓰지 말고 버리자는 뜻입니다. 이런 한글 왜말이 올림말 가운데 가웃(반)쯤 됩니다. 한글 왜말을 모두 다듬지는 못하고 자주 쓰고 널리 쓰는 두골(2만)~두골닷즈믄(2만5천)쯤 되는 낱말을 우리말로 다듬었습니다.
우리말이란 우리 배달겨레가 삶을 비롯하면서 지어 써 오며 가꾸고 보살펴 온 말, 곧 겨레말, 배달말, 어미말, 터박이말을 뜻합니다. 우리말은 우리글, 한글로만 쓸 수 있는 말입니다. 올림말로 올린 우리말은 우리말로만 풀이하고 우리말로만 그 쓰임새를 보기로 들었습니다. 풀이나 보기말에 왜말이 한 마디도 섞이지 않았지요. 이런 말집은 우리겨레말집으로서는 처음입니다. 이때까지 나온 모든 말집(사전)은 어린이말집이라고 하더라도 우리말과 한글왜말을 뒤섞어 놓고 쉬운 우리말을 왜말로 풀어놓았습니다.
이 말집은 우리겨레가 우리말을 배우고 익혀 우리말을 나날말로 써가자는 뜻에서 지었으므로 이 말집으로 우리말을 배워 간다면 우리가 그 동안 배곳에서 배워 익힌 왜말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곧 우리말을 죽이는 “거꾸로 가르치는” 배곳 배움책(학교 교과서)을 깡그리 버리고 우리말을 살리는 “바르게 가르치는” 새책을 지어서 첫배곳(초등학교), 갑배곳(중학교), 높배곳(고등학교), 한배곳(대학교) 책을 모두 새로 써서 우리말을 배우고 익혀 쓸 때가 왔다는 걸 뜻합니다.
푸른배달말집 어느 쪽을 펼치더라도 구슬같고 깨알같은 아름다운 우리말을 만날 겁니다. 미리 말집을 조금 열어 보이면 먼저 씨갈래(품사)를 우리말로 했습니다. 곧 명사는 이름씨, 대명사는 갈이름씨, 수사는 셈씨, 동사는 움직씨, 형용사는 그림씨, 부사는 어찌씨, 관형사는 매김씨, 감탄사는 느낌씨, 조사는 토씨, 접두사는 앞가지, 접미사는 뒷가지, 어미는 씨끝으로 썼습니다. 앞에 든 왜말은 왜말본(일본말문법)에 쓰는 말입니다. 다음은 이 말집 보기말에 쓰인 사람 이름은 모두 우리말 이름으로 들었습니다. 이를테면 바우, 한결, 온결, 솔, 소낭, 바다, 가람, 가을, 여름, 두레, 하늘, 하루, 느티, 곱단이, 아름이, 미리내처럼 모든 사람 이름이 우리말 이름입니다.
또 우리말 고을이름, 마을이름, 가람이름, 내이름...... 그밖에 온갖 이름을 모두 우리말로 실었습니다. 보기를 들면 대전은 한밭, 대구는 다고부루, 울산은 구러부루, 평양은 부루나, 해주는 누미구루, 인천은 마도구루, 전주는 온다라, 낙동강은 가라가람, 압록강은 아리나리, 중랑천은 한내, 안양천은 오목내, 감천은 달내, 동해는 샛바다, 남해는 마파다처럼 옛 어른들이 쓰던 우리말 이름으로 올렸습니다.
이제 농사, 농업은 여름지이, 여름짓기로 바꾸고, 농부, 농민은 여름지기로, 예초기는 풀깍개 또는 풀베개로, 이양기는 모심기틀, 트랙터는 끌수레로, 비닐하우스는 비닐집으로, 무경운은 안갈기로, 귀농통문은 ‘시골살이문’ 또는 ‘여름지이문’처럼 왜말에 물든 온갖 말을 우리말로 바꿔 쓰는 좋은 까리(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가 몸은 어버이로부터 물려받지만, 얼은 겨레말에서 물려받습니다. 겨레얼이 깃든 우리말을 쓰지 않고 왜말을 쓰면 왜얼에 물들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말을 쓰지 않으면 우리 겨레얼이 깃들 수 없습니다. 늦었고도 늦었지만 우리가 모두 얼을 차려 저마다 우리말을 살려 써 우리 스스로 겨레얼을 되찾고, 뒷사람들에게 우리말을 물려줌으로써 뉘뉘로 물려 내려온 겨레얼을 뒤로 물려줘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