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17 철바보 인천에서 나고자랐습니다. 인천은 시골이 아닌 큰고장입니다. 그러나 서울 곁에 있으면서 모든 살림이며 마을은 매우 수수했어요. 다섯겹(5층)이 넘는 집조차 드물었거든요. 골목은 널찍하면서 아늑했고, 바다랑 갯벌이 가까우며, 곳곳에 빈터나 들이 흔했어요. 시골놀이는 아니지만 골목놀이에 바다놀이에 풀밭놀이를 누리면서 언제나 ‘나이’란 뭘까 하고 생각했어요. 신나게 뛰노는 우리를 바라보는 마을 어른들은 “철없이 놀기만 한다”고 나무랐는데, 어버이 심부름이며 집안일을 다들 엄청나게 함께하기도 했어요. “어른들은 하나도 모르면서.” 하고 혼잣말을 했어요. 곰곰이 생각하면, 나이가 들기만 할 적에는 메마르고, 철이 들면 즐겁게 노래하며 놀리라 생각해요. 놀지 않거나 놀이를 얕보는 분이란 ‘낡은이·늙은이’로 가고, 철빛을 살피면서 아이하고 어깨동무하는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16 책읽기 나라(정부·국립국어원)에서 펴낸 낱말책은 “독서(讀書) : 책을 읽음”으로 풀이합니다. 아주 틀리지는 않다고 할 뜻풀이입니다만, 영 엉성합니다. 더구나 우리말 ‘책읽기’는 올림말로 안 삼아요. ‘책 읽기’처럼 띄라고 합니다. 왜 아직도 우리말 ‘책읽기’를 낱말책에 안 올릴까요? ‘독 서’처럼 띄어쓰기를 안 하는데, ‘책 읽기’처럼 띄어야 할까요? ‘마음읽기·숲읽기·삶읽기·글읽기·그림읽기·바로읽기·오늘읽기·날씨읽기’처럼 ‘-읽기’를 뒷가지로 삼아 새말을 차근차근 지을 만합니다. 삶은 새롭게 뻗고, 생각은 새삼스레 자라고, 삶터는 새록새록 넓게 자랍니다. 이러한 길이나 물결을 돌아본다면 바야흐로 ‘읽기’를 슬기롭게 할 노릇이요, 우리 나름대로 ‘새로읽기’를 의젓이 할 줄 알아야지 싶어요. 마음닦기를 하는 이웃님이라면 마음읽기를 하다가 마음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15 글이름 어릴 적에는 언제나 어머니한테 “어머니, 이 나무는 이름이 뭐예요? 이 풀은 이름이 뭔가요?” 하고 여쭈었습니다. 어머니는 끝없이 이어가는 이 ‘이름묻기’를 꼬박꼬박 대꾸해 주었습니다. “걔는 예전에 이름을 알려줬는데, 잊었구나?”라든지 “어머니도 몰라! 그만 물어봐!” 같은 대꾸도 하셨지요. 이제 우리 집 아이들이 아버지한테 늘 “아버지, 이 나무는 이름이 뭐야? 이 꽃은 무슨 이름이야?” 하고 묻습니다. 저는 가만히 풀꽃나무 곁에 다가서거나 기대거나 쪼그려앉아서 혼잣말처럼 “그래, 이 아이(풀꽃나무)는 이름이 뭘까? 궁금하지?” 하고 첫머리를 열고서 “넌 어떤 이름이라고 생각해?” 하고 다음을 잇고 “네가 이 아이(풀꽃나무)한테 이름을 붙인다면 어떻게 지어 보겠니?” 하고 매듭을 짓습니다. 아이가 먼저 스스로 풀꽃나무한테 이름을 붙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14 길손집 놀이란 늘 사뿐사뿐 즐기는 노래이지 싶습니다. 놀면서 우는 사람은 없어요. 놀면서 다들 웃어요. 놀이란 마음에 즐거이 웃는 기운을 맞아들이려고 새롭게 펴는 몸짓이라고 할 만합니다. 오늘도 웃는다면, 오늘도 노래하면서 즐거이 놀았다는 뜻이로구나 싶어요. 언제나 집에 머물며 하루를 그려서 짓고 가꾸고 누리다가, 곧잘 이 집을 떠나서 이웃이나 동무한테 찾아갑니다. 이웃하고 동무가 살아가는 마을은 바람이 어떻게 흐르고 풀꽃나무가 어떻게 춤추는가 하고 생각하면서, 하늘을 보며 걷습니다. 철마다 새롭게 빛나는 숨결을 아름다이 느끼면서 나들이를 합니다. 집을 나와 돌아다니기에 “우리 집”이 아닌 “다른 집”으로 찾아들어 하룻밤을 묵지요. 이때에 이웃이나 동무는 저한테 “숙소는 정하셨나요?” 하고 물으시는데, “잘곳은 그때그때 찾아요.” 하고 말합니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13 가는곳 낱말책에 ‘가는곳’이나 ‘가는길’ 같은 낱말은 아직 없습니다만, 저는 이런 낱말을 거리끼리 않으면서 씁니다. 띄지 않고 붙입니다. 이제는 ‘타는곳’ 같은 낱말이 자리잡아요. ‘나가는곳’ 같은 낱말도 자리잡고요. 가장 수수하다 할 ‘가는곳·가는길’을 새말로 삼아 우리 넋과 삶과 길을 밝히면 한결 즐거우리라 생각합니다. 여느 낱말책을 뒤적이면 “행선지(行先地) : 떠나가는 목적지”처럼 풀이하고, “목적지(目的地) : 목적으로 삼는 곳 ≒ 신지”에다가 “목적(目的) : 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으로 풀이해요. 겹말·돌림풀이입니다. 우리말 ‘가다’랑 ‘나아가다·떠나다’를 알맞게 쓰는 결을 못 살피고 안 돌아보는 낱말책이네 싶습니다. 마음에 뜻한 바가 있기에 꿈을 그려요. 언제 어떻게 이룰는지 몰라도 한 발짝 내딛습니다. 둘레에서 하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12 주제 어릴 적부터 “○○하는 주제에” 소리를 익히 들었습니다. “힘도 없는 주제에”나 “골골대는 주제에”나 “못하는 주제에”나 “말도 더듬는 주제에” 같은 소리에 으레 주눅들었어요. “넌 그냥 쭈그려서 구경이나 해” 하는 말을 들으며 스스로 참 못났구나 하고도 생각하지만, ‘난 스스로 내 주제를 찾겠어’ 하고 다짐했어요. 어릴 적에는 우리말 ‘주제’가 있는 줄 모르고 한자말 ‘주제(主題)’인가 하고 아리송했습니다. 나이가 들고 나서는 “돈없는 주제에”나 “안 팔리는 주제에”나 “시골 주제에” 같은 소리를 곧잘 들으며 빙그레 웃어요. “주제모르고 덤벼서 잘못했습니다” 하고 절합니다. 이러고서 “돈없고 안 팔린다지만, 늘 즐겁게 풀꽃나무하고 속삭이면서 노래(시)를 쓰니, 저는 제 노래를 부를게요.” 하고 한마디를 보태요. 나설 마음은 없습니다. 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11 이웃사람 ‘이웃’이라는 낱말만으로도 “가까이 있는 사람”을 가리킵니다만, 이제는 따로 ‘이웃사람’처럼 쓰기도 해야겠구나 싶습니다. ‘이웃짐승·이웃별·이웃목숨·이웃짐승·이웃나무·이웃숲’처럼 쓰임새를 자꾸 넓힐 만해요. ‘이웃-’을 앞가지로 삼아 새 낱말을 차곡차곡 지으면서 말결이 살아나고, 우리 스스로 둘레를 바라보는 눈길을 새록새록 가다듬을 만하지 싶습니다. 요사이는 ‘서로이웃’이란 낱말이 새로 태어났습니다. 그저 옆에 붙은 사람이 아닌 마음으로 만나면서 아낄 줄 아는 사이로 나아가자는 ‘서로이웃’일 테니, 따로 ‘이웃사람’이라 할 적에는 ‘참사랑’이라는 숨빛을 얹는 셈이라고 할 만합니다. 어깨동무를 하기에 서로이웃이요 이웃사람입니다. 손을 맞잡고 춤추며 노래하는 사이라서 서로이웃이자 이웃사람이에요. 이웃마을에 찾아갑니다. 이웃넋을 읽습니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10 밥투정 어릴 적부터 못 먹는 밥이 잔뜩 있습니다. 둘레에서는 “뭐든 다 잘 먹어야 튼튼하게 자라지!” 하면서 제가 못 먹는 밥을 자꾸 먹였습니다. 입에도 속에도 와닿지 않는 먹을거리를 받아야 할 적에는 눈앞이 캄캄하더군요. 어떻게 이곳을 벗어나려나 아무리 생각해도 뾰족한 길이 없습니다. 둘레 어른들은 제가 코앞에 있는 밥을 말끔히 비워야 한다고만 여겨요. 눈을 질끈 감고서 입에 넣어 우물거리지만 목구멍에 걸립니다. 억지로 삼키면 이내 배앓이를 하거나 게웁니다. 거의 모두라 할 어른들은 ‘가려먹기(편식)’를 한다고 여겼어요. 그런데 마땅하지 않을까요? 몸에 안 받을 적에는 가려야지요. 다른 사람이 잘 먹기에 모든 사람이 잘 먹어야 하지 않아요. 사람마다 밥살림은 다르고, 옷살림도 집살림도 글살림도 다릅니다. “또 밥투정이야?” 하는 말을 들을 적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노래 곁말 9 풀꽃나무 내리쬐는 햇볕을 온몸에 듬뿍 누리다 보면, 해님은 언제나 모든 숨붙이를 사랑하는구나 싶습니다. 돌도 냇물도 다 다르게 숨결이 빛나고, 바람줄기는 우리 등줄기를 타고 흐르다가, 빗줄기를 슬며시 옮겨타고서 신나게 놉니다. 어버이한테 사랑을 가르치려고 태어난 아이는, 바람처럼 놀고 해님처럼 웃으니 다 압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이로 놀며 자란 빛이라면, 풀꽃나무를 상냥히 쓰다듬는 사이에 눈뜨겠지요. 오늘 이곳에서 누린 하루는 새로 피는 꽃이라, 이 꽃내음이 번지면서 보금숲을 가꿉니다. 너는 나랑 다르면서 같은 하늘빛을 품어, 늘 새롭게 만나고 노래하는 동무입니다. 나는 너랑 같으면서 다른 풀빛을 안아, 언제나 새록새록 마주하고 춤추는 이웃입니다. 너는 풀이고 나는 꽃입니다. 너는 나무이고 나는 나비입니다. 너는 꽃잎이고 나는 꽃송이입니다.
[ 배달겨레소리 한실 글님 ] 세나라 때 이두를 파고들어 밝혀낸 바에 따르면 그때 우리말에 사람을 나타내는 말로 '-보'를 널리 썼음을 알 수 있다. 우리말 보를 나타내려고 쓴 한자로는 宗, 童, 夫, 福, 卜, 伏 들이 있다. 夫, 福, 卜, 伏은 우리말 ‘보’ 소리를 적은 것이고 宗, 童은 보(사람)란 뜻을 한자로 적은 것이다. 가시리보(居柒(七)夫) : 荒宗 이시보(異斯夫) : 苔宗, 伊宗 우리가 배곳에서 거칠부, 이사부라 배운 것은 그때 소리로는 가시리보, 이시보였는데, 이제 와서 거칠부, 이사부라 읽는 것은 대단히 어리석은 일이다. 그러므로 이제부터라도 배곳에서 그때 소리 가리시보, 이시보라 가르쳐야 하고 모두 그렇게 읽는 것이 맞다. 이렇게 높은 사람한테도 널리 썼던 우리말 ‘보’가 오늘에 와서는 땅딸보, 뚱보, 째보, 털보, 꾀보, 느림보, 떡보, 먹보, 곰보, 울보, 짬보, 잠보, 바보 같은 말로 쓰고, 조금 낮춤말로 많이 쓴다. 오늘날 우리말에 사람을 나타내는 말로 분, 이, 놈이 있으나 놈은 낮은 말로 쓰면서 덜 쓰고 이, 분을 쓰는데 보를 널리 살려 쓰면 좋겠다. 사람을 나타내는 한자말 사, 수, 자. 원들을 갈음하여 쓸 수 있는 좋은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