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시스 변해정님 글을 한실이 우리말로 뒤침] 해고리(코로나)-19 앓는이(환자)가운데 온에 마흔(40%)은 앓이꼴(증상)이 없고, 나숨집(병원) 나올 때까지도 온에 스물에서 서른(20~30%)은 앓이꼴 없어 앓이꼴 없는 이 가운데 온에 스물~서른 나숨집 나올 때까지 앓이꼴 없어 정은경 “머리 아픔, 배아픔 앓이꼴 크게 남다르지 않아” 새 해고리-19에 걸린이 열에 넷은 앓이뿌리를 찾을 때(진단시점)에 앓이꼴(증상)이 없으며 이 가운데 온에 스물에서 서른은 나숨집을 나갈 때까지 별다른 앓이꼴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5월 뒤로 나라안에서 퍼진 해고리-19 좀알살이(바이러스)에는 지에이취 꼴이 가장 많으며 이제까지 좀알살이 바뀜(변이)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앓이막이 맡은쪽(방역당국)은 말했다. 정은경 앓이막이돌봄집(질병관리청) 앓이막을길(중앙방역대책본부) 머리(본부장)님은 맏이틀(2일) 뒷낮 제때 알리기(정례브리핑)에서 “모둠(집단)이 어떠냐에 따라 조금 달라질 수는 있지만, 앓이뿌리를 찾을 때에 앓이꼴이 없는 율이 얼추 온에 마흔 안팎”이라고 밝혔다. 정머리님은 “그 가운데도 나숨집을 나갈 때까지 아무 앓이꼴 없는 율이 온에 스물에서 서른쯤으로 생
[한겨레 최하얀 글님 11/2 글을 한실이 우리말로 다듬음] 3걸음 → 5걸음으로 잘게 쪼개 동아리(클럽) 같은 놀이곳 5갈래 가운데 2걸음부터 노래방은 2.5걸음부터 못 모여(집합금지) 나라일곳(정부)이 오는 이레부터 사람사이 떨어지기 얼개를 이미 있던 3걸음에서 5걸음으로 잘게 나눈다. 해고리-19가 오래감에 따라 사람사이 떨어지기 과녁을 ‘새로 걸린이 줄이기’에서 ‘앓이가 무거워진 이(중증환자)도 낫도록 퍼짐을 다스리기’로 바꾼다는 뜻이다. 여러 갖춤곳(각종시설)에 못 모이기나 문닫기는 되도록 줄이되, 입마개쓰기, 드나드는이 이름적기 같은 바탕이 되는 앓이막이지킬거리(방역수칙 의무적용대상)는 넓어진다. 지실(재해)없앨꾀으뜸자리(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맏하루(1일), 이런 속내를 뼈대로 한 사람사이 떨어지기 바꾼 꾀를 잡아 알렸다. 앞으로 떨어지기 얼개는 1걸음(살이 앓이막이), 1.5걸음(두리퍼지기비롯), 2걸음(두리빠르게 퍼지기), 2.5걸음(온나라퍼지기), 3걸음(온나라널리퍼지기)로 나뉜다. 이미 해오던 높,갑,낮 바드러움갖춤(위험시설) 3갈래 얼개는 무거움(9가지), 여느(14가지), 돌봄갖춤(관리시설) 2갈래 얼개로 홑되게 하고, 이들 갖춤터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