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우리말 곁말 64 숲노래 어려우면 우리말이 아닙니다. 처음 듣기에 어렵지 않아요. 우리가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도록 누린 삶하고 동떨어지기에 어렵습니다. 오늘은 어제하고 달라 옛사람처럼 살아가지 않으나, 우리 눈빛하고 마음은 늘 이곳에서 흐르는 날씨하고 풀꽃나무하고 눈비바람에 맞게 피어나면서 즐겁습니다. 저는 열 살 무렵에는 혀짤배기·말더듬이에서 벗어나려고 용썼고, 열아홉 살 무렵에는 네덜란드말을 익혀 우리말로 옮기는 길을 가려다가 우리말을 헤아리는 쪽으로 접어들며 스스로 ‘함께살기’란 이름을 지었어요. 서른아홉 살에 접어들자 새롭게 이름을 지어야겠다고 느껴 ‘숲노래’를 지었습니다. ‘함께살기’는 너나없이 어깨동무하는 푸른삶을 가리킨다면, ‘숲노래’는 누구나 푸르게 별빛이라는 사랑을 가리킵니다. ‘함께살기’는 ‘동행·공생·공유·공동체·상생·혼례·조화·하모니·균형·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우리말 곁말 63 책밤수다 우리말로 우리 삶을 다시 나타낼 수 있은 지 아직 온해(100년)가 안 됩니다. 이웃나라 일본이 총칼로 찍어누르면서 일본말·일본 한자말을 퍼뜨린 마흔 해 생채기는 오늘날에도 씻지 못합니다. ‘작가와의 만남’이나 ‘북토크’도 우리말은 아니요, ‘심야책방’은 더더구나 우리말이 아닙니다. ‘-와의’는 우리말씨 아닌 일본말씨요, ‘작가(作家)’ 아닌 ‘지은이·지음이·짓는이’라 해야 우리말입니다. ‘토크’도 ‘북’도 아닌 ‘책수다’일 적에 우리말이에요. 일본 그림꽃책(만화책) 《심야식당》이 우리나라에서도 꽤 사랑받아 ‘심야○○’란 이름을 붙인 가게나 자리가 부쩍 늘었어요. 일본 그림꽃책을 처음에 ‘한밤밥집·한밤식당’으로 옮겼다면 ‘심야○○’가 아닌 ‘한밤○○’란 이름이 퍼졌을 텐데요, 퍽 알려진 이름을 따오기보다는 우리 나름대로 새롭게 이름을…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꽃 말꽃삶 13 전쟁용어 씨앗 예부터 어른들은 비를 ‘비’라고 하면서 ‘비’가 무엇인가 하고 생각하고 살피고 돌아보고 헤아리는 밑틀을 마련했습니다. 어린이 스스로 마음을 북돋우라는 뜻으로 삶·살림을 수수한 말씨로 담아서 살며시 들려주고 가만히 지켜보았어요. 비를 바라보면 ‘빛납’니다. 빗방울마다 빛이 나요. 막상 빗방울을 손바닥에 얹으면 그저 물방울이지만, 구름에서 땅으로 내려오려고 하늘을 가를 적에는 ‘반짝이는 빛줄기’를 그립니다. 바다랑 비 바다가 있기에 비가 있습니다. 바닷물이 아지랑이라는 몸을 거쳐서 구름을 이루다가 빗방울로 이 땅에 드리웁니다. 이쯤은 어린배움터에서조차 가르칩니다만, ‘바닷물 = 아지랑이 = 구름 = 물방울 = 빗물’이라는 대목을 찬찬히 짚어서 ‘말’을 ‘마음’에 담도록 알리지는 못 한다고 느껴요. 하늘에서 땅으로 드리울 적에 빛나는 빗방울을 받아 보면, ‘빈’ 물방울이곤 합니다. 바다에서 하늘로 아지랑이가 될 적부터 바닷방울(바다 물방울)은 몸을 비워요. 몸을 비워야 바다를 떠나 하늘로 오릅니다. 하늘로 오른 바닷방울은 가볍게 바람을 타다가 모이니 구름을 이뤄요. ‘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우리말 곁말 62 거지말 꾸밈없이 말하면 걱정이 없습니다. 꾸미다가 스스로 펑 터지거나 아슬합니다. 꾸밈없이 글쓰고 일하고 생각하고 살림하면 아름답습니다. 또 꾸미고 거듭 꾸미기에 겉발림이 늘고 겉치레가 생깁니다. 겉으로는 있는 척하지만 속으로는 없는 사람이 ‘거지’이지 싶어요. ‘거짓말’은 ‘거지 + ㅅ + 말’인 얼개입니다. 스스로 속으로 안 가꾸거나 안 돌보는 마음은 ‘거짓’이요, 스스로 거지가 되는 길이라 할 만합니다. 돈이나 값을 안 바라고서 ‘거저’ 주곤 해요. 받을 마음이 없기에 거저(그냥·그대로) 줄 텐데, 겉으로만 꾸미기에 거추장스러운 껍데기가 늘고, 거칠면서 겉돌게 마련입니다. 거죽·가죽이란 바깥을 이루는 옷입니다. 옷을 입어 몸을 돌보기도 하지만, 옷에 매달려 그만 몸도 마음도 잊은 채 치레질이나 꾸밈질에 빠지기도 합니다. 돈값을 바라지 않는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우리말 곁말 61 구경그림 이오덕 님이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이끌어낸 멧골아이 그림을 처음 본 1994년에 깜짝 놀랐어요. 멋스러이 그리도록 안 다그친 어른이 있는 줄, 아이마다 다른 붓결을 살리는 상냥한 어른이 있는 줄, 스스로 살아가는 터전에서 스스로 사랑하는 하루를 고스란히 그리도록 북돋운 어른이 있는 줄 처음 보았습니다. 스무 살까지 살며 구경한 그림은 말 그대로 ‘구경그림’입니다. 여덟 살에도, 열네 살에도, 열일곱 살에도, 배움터에서는 ‘구경하는 그림(풍경화)’만 그리도록 내몰았고 가르쳤어요. 구경하는 일이 나쁘다고 여기지 않습니다. 숲을 마주하면서 담아낸 그림은 숲빛이 아름다워요. 풀꽃나무를 지켜보면서 담아낸 그림은 푸르게 너울거리면서 빛나지요. 냇가나 바닷가에 나가서 그릴 적에는 온몸하고 온마음이 확 트입니다. 그러니까, 배움터도 냇가나 바닷가처럼,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우리말 곁말 60 둘레말 우리나라는 온갖 곳으로 부릉부릉 다니는 길을 많이 뚫거나 냈습니다. 시골이나 작은고장은 으레 옛길(구도로)하고 새길(신도로)이 나란히 있는데, 새길 옆에 또 새길을 더 넓게 내기까지 합니다. 빠르고 손쉽게 큰고장으로 뻗는 길이 많다 보니 옛날처럼 외딴집살이나 마을살이를 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서울·큰고장을 그날치기로 오가는 사람이 수두룩해요. 달라지는 삶터에 따라 달라지는 삶말입니다. 작고 수수하게 들숲바다를 품으며 스스로 말을 지어서 쓰던 지난날에는 마을말(사투리)인 살림이라면, 크고 빠르게 서울·큰고장을 오가는 오늘날에는 둘레에서 쓰는 말을 받아들이는 살림입니다. 아이들이 발을 들이는 어린이집하고 배움터는 모두 서울말이 바탕입니다. 일터도 마을말이 아닌 서울말이 바탕이에요. 둘레를 살피면서 맞추는 말로 기울고, 더 큰 삶터에서 널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말/숲노래 우리말 곁말 59 스님 소리가 비슷하거나 같더라도 우리말은 우리말이고 한자말은 한자말이며 영어는 영어입니다. 우리말은 우리말을 바탕으로 살피고 맞추고 생각할 적에 우리말답게 풀어내면서 실마리를 찾아요. 한자말은 한자말끼리 살피고, 영어는 영어끼리 살펴야 맞습니다. 우리말 ‘스님’이나 ‘스승’을 한자 ‘승(僧)’하고 나란히 두려는 사람이 꽤 있는데, 우리말은 ‘승’이 아닌 ‘스님·스승’입니다. 우리말로 가리키는 이름인 ‘스님·스승’이 어떤 숨결이고 삶길이며 눈빛인가를 헤아리고 읽어내야 비로소 말밑을 제대로 캐내어 말살림을 가꿉니다. 우리말 ‘스님·스승’은 마땅히 ‘스’가 말밑입니다. ‘스’가 깃든 말씨를 곰곰이 짚으면서 스님이며 스승이 어떤 몸짓인가 하고 떠올리기로 해요. ‘스님·스승’은 남을 따라하거나 따라가지 않습니다. 늘 스스로 합니다. 남한테서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말/숲노래 말빛 곁말 58 길든나라 길이 드는 갈래는 여럿입니다. 첫길은 그대로 따라가는 몸짓입니다. 두길은 꾸준히 가다듬고 되풀이하면서 쓰기에 좋은 살림입니다. 석길은 남이 시키는 대로 고분고분한 매무새입니다. 넉길은 다시금 애쓰며 솜씨를 키우는 삶입니다. 닷길은 스스로 생각을 잊은 채 휘둘리는 굴레입니다. 길에 들기에 나쁘거나 좋지 않습니다. 마실길이 있고 나들잇길이 있는걸요. 삶도 삶길이라 하며, 살림도 살림길이라 합니다. 이곳에서 저곳을 바라보면서 너머로 나아가려 하기에 ‘길’입니다. 다만, 이 길이 삶길이나 살림길이나 사랑길로 피어나려면 ‘우리 스스로 생각’을 할 노릇입니다. 생각을 잊거나 잃으면 심부름만 해요. ‘길든나라’로 빠집니다. ‘길든넋’일 적에는 ‘스스로넋’이 아니니 누가 시키지 않으면 안 움직여요. 쇠밥그릇에 갇힙니다. ‘길든이’라면 “우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곁말/숲노래 우리말 곁말 57 씻김채 아주 어릴 적에 씻는집(목욕탕)에 간 일이 어렴풋이 떠오르지만, 어머니는 씻는집을 안 즐겼습니다. 다녀오는 길이 안 가깝기도 하고 돈도 들기에 “우린 집에서 씻자. 그래도 되지?” 하셔서 우리 집 씻는칸(욕실)만 누렸습니다. 어린 제가 혼자서 목이며 등이며 팔다리를 잘 씻지 못한다며 때를 박박 밀어 주시는데, 마땅한 노릇이겠지만 어린이 힘하고 어른 힘이 다를 만합니다. 어머니 등판을 밀라치면 “너무 힘이 없어. 더 세게 밀어 봐.” 하시지요. 때를 밀기에 ‘때밀이’인데, 사람들은 자꾸 이 말이며 이 이름을 꺼립니다. 어느새 ‘세신사’라고 하는, 아주 일본스런 한자말을 끌어들입니다. 일본스런 한자말 ‘세신’은 ‘씻다 + 몸’일 뿐입니다. 넋을 달래려 ‘넋씻이·씻김굿’을 하듯, 우리는 ‘몸씻이·씻김질’을 할 만합니다. 씻겨 주는 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우리말꽃 말꽃삶 12 밥꽃에 잘 먹이는 ‘이기적(利己的)’은 우리말이 아닙니다. 우리말로 하자면 “저만 아는·나만 아는”이요, ‘나먼저·나부터’이고, ‘제멋대로·멋대로’라 할 만합니다. 이런 우리말을 바탕으로 ‘속좁다·얌체’라든지 ‘좁다·얕다’로 나타낼 만하고, ‘눈멀다·덜먹다’나 ‘어리석다·철없다’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일본스런 한자말 ‘이기적’이나 ‘이기주의’가 이런 여러 우리말 뜻이나 결을 품는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온갖 우리말을 알맞게 쓰는 길을 우리가 스스로 잊으면서 잃었다는 얘기입니다. 처음부터 대뜸 “넌 어리석어!”나 “그대는 철이 없군요!”라 하면 얼핏 ‘이기·이기적·이기주의’하고 먼 듯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쉽고 바탕이라 할 “저만 아는”부터 차근차근 뜻을 짚으면서 말결을 이어가노라면 ‘어리석다·철없다’뿐 아니라, ‘밉다·샘바르다’로도 나아가고, ‘괘씸하다·건방지다·고약하다’로도 흘러요. 때로는 ‘길미꾼·깍쟁이’ 같은 말이 어울립니다. 어른이 어른스럽게 아이 곁에서 말을 들려주면서 북돋울 적에는 한꺼번에 다 알려주지 않습니다. 언제나 한 가지를 먼저 들려줍니다. 이다음에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