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34] 잔디
잔디에 대가 쑥 올라와 씨앗이 영근다. 중학교 다닐 적이 떠오른다. 여름이면 빠지지 않고 잔디 훑기를 해오라고 시켰다. 작은 그릇을 하나 들고 장골 뒷산에 오른다. 묏자리에 잔디가 많다. 대를 손으로 꼭 잡고 당기면 두 손가락 사이에 딱 씨앗이 붙는다. 그릇에 손가락을 비비면 잔디가 떨어진다. 손에 묻힌 씨앗을 담다가 흘린다. 그렇게 흘린 씨앗이 무덤터에 다시 뿌리를 내렸지 싶다. 작은 씨앗을 그릇에 채우려면 쪼그려 앉아 오래 훑어야 한다. 갖고 가야 할 몫을 채우려면 볕이 뜨겁고 하기 싫어도 해야만 했다. 그러나 잔디씨 훑는 일은 그렇게 싫지가 않았다. 이 숙제가 어렵지 않으니깐 좋았다. 내가 훑어 온 잔디씨를 글월자루(편지봉투)에 담아서 낸다. 그러면 부피를 채웠는지 무게를 단다. 잔디는 배움터에서 시켰기 때문에 훑기도 했지만 팔려고 훑기도 했다. 어머니 아버지도 많이 훑었다. 재 너머 덥니미에 소풀을 먹이면서 잔디씨를 훑는다. 온집안이 훑어 한 되가 모이면 어머니는 저자에 가서 팔았다. 우리는 잔디씨를 온집안이 훑어서 파는데 배움터에서는 왜 거저로 잔디씨를 거두는지 못마땅했다. 너른터(운동장)에 뿌리지도 않는데 왜 억지로 훑어오라고 시킬까. 잔디가 많은 자리에는 다른 풀이 없었다. 잔디뿌리가 질기고 얼기설기 그물로 엮으니 다른 풀이 자랄 틈을 주지 않는다. 우리가 잔디에서 뛰어놀아도 흙보다 안 미끄럽고 넘어져도 덜 다친다. 그래서 흙과 풀이 없는 큰고장 쉼터(공원)에 깔려고 했을까. 먼나라로 팔아넘길까. 그때 우리가 훑은 씨앗이 곳곳에 퍼졌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운동선수도 우리 어머니 아버지가 훑어 준 잔디씨앗으로 덜 다쳤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키가 많이 안 크고 풀밭이 되어주는 잔디가 뜻밖에 다른 풀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재주가 있었네. 흙을 얼마나 꼭 잡고 자라면 그럴까. 잔디씨앗 하나가 큰일을 해낸다.
2021. 06. 24. 숲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