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하루 글님 ]
[숲하루 풀꽃나무 이야기 13] 가뭄
멧허리로 다니던 길이 넓어졌다. 왼쪽 숲은 잔디나 풀이 자라는 비렁인데 마흔 해 만에 오니 숲으로 우거졌다. 내리막길 아래는 자두밭으로 바뀌고 둘레에 쇠기둥을 꽂았다. 비가 안 와도 물 걱정이 없는 듯하다. 고개 들어 등성이가 만나는 멧봉우리를 보자니 사람 얼굴을 닮았다. 이마하고 코하고 입에 목줄기가 드러난다. 마을 들머리에서 보면 하늘을 바라보고 누운 듯하다. 내가 열세 살 적에 마을에 가뭄이 들었다. 비가 오지 않아 논바닥이 쩍쩍 갈라졌다. 손가락이 들어갈 만큼 갈라진 논에 뛰어가다 보면 발끝이 걸려 넘어진다. 물이 있어야 모내기를 하고 모를 심어야 쌀이 나오는데, 마을사람이 모였다. 비를 내려 달라고 멧님(산신령)한테 비손을 올린다고 사람을 뽑는다. 집안에 크고 작은 일이 없는 사람, 그해에 죽음을 치르지 않은 사람을 둘 뽑았다. 아버지가 뽑혔다. 혼자 멧골에 가서 비손하기가 무섭기에 두 사람이 같이 간다. 우리 아버지는 빔(한복)이 없어 흰 두루마기만 걸친다. 아버지는 이른저녁을 먹고 금성산에 갔다. 아버지는 밤새도록 멧골에 머물며 비손했다. 새벽에 우리 아버지가 내려오자마자 마을에 비가 쏟아졌다. 마을 모두 기뻐했다. 멧골마을이라 하늘만 바라보았다. 하늘이 내려 주는 대로 투덜대지 않고 흙을 짓던 멧골마을이었는데 가뭄이 거듭되고 비손하고 비가 내린 뒤로 마을에서는 골짜기마다 둑을 파고 물을 모은다. 초등학교 가는 길에는 아주 큰 못이 둘 있고, 간지밭에 가는 길에 작은 못이 이쪽저쪽 하나씩 있고, 마을 맨 안쪽 집 위에는 마을에서 가장 크게 물을 가두어 놓고 집마다 땅밑물도 판다. 나는 우리 아버지가 착해서 비손을 들어 주고 비가 내린 듯해서 두고두고 아버지가 자랑스럽다.
2021. 05. 18. 숲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