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우리말 오늘말. 난무렵 늦가을에 귀를 기울이면 이제 풀벌레노래는 사그라들지만, 한 해 내내 울리는 참새노래가 있고, 숲에서 찾아드는 멧새노래가 물결을 칩니다. 새벽부터 밤까지 새노래를 몸에 담고 마음에 싣습니다. 즐거이 흐르는 노래를 차곡차곡 쟁이면 오늘 하루는 언제나 첫날입니다. 모든 하루가 난날이에요. 동이 틀 무렵에는 늘 제 난무렵을 떠올립니다. 몸나이를 따지지 않아요. 마음빛을 그동안 어떻게 달래면서 밑절미로 다스렸는지 생각합니다. 삶을 이루는 바탕을 되새기고, 살림을 짓는 밑동을 그립니다. 늦가을까지 풀벌레가 들려준 노래는 바람에 띄워 저 추운나라로 보냅니다. 늦가을부머 봄까지 텃새랑 철새가 갈마들며 들려줄 노래는 별빛으로 옮겨 이웃고장이며 이웃나라로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팔매금처럼 부드러이 날아가겠지요. 서로 난해달날은 잊고 모든 날이 첫때인 줄 느끼면서 기쁘게 일어서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물감판에 물감을 개서 종이에 그림을 얹기도 하지만, 눈을 밝혀 마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글손질 다듬읽기 16 《당신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민나리·김주연·최훈진 오월의봄 2023.5.8. 《당신의 성별은 무엇입니까?》(민나리·김주연·최훈진, 오월의봄, 2023)를 읽으며 내내 답답했습니다. 우리는 씨(성별)를 굳이 갈라야 하지 않거든요. 태어난 몸이 암이건 수이건 대수롭지 않습니다. 키가 크건 작건, 둘레에서 이쁘다고 여기건 못생겼다고 여기건, 따질 일이 없습니다. 누구나 이 땅에서 무언가 스스로 겪고 배워서 새롭게 사랑을 지으려고 얻은 ‘몸’입니다. 그러나 웃사내(남성가부장권력)는 적잖은 나날에 걸쳐 ‘바보나라’로 굴리고 길들이면서 가시내뿐 아니라 사내 스스로도 괴롭히고 죽였어요. ‘사내라서 힘꾼(권력자)’이지 않습니다. ‘힘꾼이 힘꾼’일 뿐입니다. 종은 가시내이건 사내이건 똑같이 ‘종(노예)’이요, 힘꾼도 사내이건 가시내이건 힘꾼입니다. 예전에는 뒷간을 안 갈랐는데, 이제 갓벗(여남)을 갈라요. 이 책은 ‘호르몬제’가 ‘백신’ 못잖게 어린이·푸름이·어른 몸을 망가뜨리는 줄 하나도 안 다룹니다. ‘돈·이름·힘’을 거머쥔 무리가 사람들을 가르면서 우리 스스로 싸우도록 붙이고 북돋우는데, 이 속내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숲노래 글손질 다듬읽기 15 《빌뱅이 언덕》 권정생 창비 2012.5.25. 《빌뱅이 언덕》(권정생, 창비, 2012)에 실린 글은 이미 다른 책에서 읽었습니다. 저는 진작부터 권정생 님 모든 책을 샅샅이 챙겨서 읽었기에 굳이 이런 글모음이 없어도 되리라 여기지만, 판이 끊어진 책에 깃든 글을 추려서 모을 수도 있겠지요. 그런데 우리는 권정생 님 글을 왜 읽을까요? 우리 스스로 ‘허깨비 서울살림을 벗으려’고 읽나요? ‘좋은글 읽어치우기(소비)’일 뿐인가요? 사람들이 자꾸 잊는데, 이오덕 님이나 권정생 님은 ‘서울 아닌 시골’에서, 더구나 ‘두멧시골’에서 조용히 살림을 짓고, 해바람비랑 풀꽃나무를 벗삼아 하루를 노래했습니다. 두 분은 처음부터 ‘시골에서 살며 글을 쓸 뜻’은 아니었으나, 두 분 모두 여린몸인 터라 시골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는데, 막상 시골에서 숨을 거두는 날까지 살아가면서 ‘글을 쓰든 안 쓰든, 사람이 사람으로서 살려면 숲을 품는 보금자리를 일굴 노릇’인 줄 몸소 느꼈고, 이 삶빛을 이웃하고 글로 나누려는 길이었습니다. ㅅㄴㄹ 어릴 때 우리 집은 어둡고 음산했다 → 어릴 때 우리 집은 어두웠다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맨드리 다 자란 나무를 옮겨심으려면 삽을 씁니다. 그러나 나무를 심고 싶다면, 손가락으로 흙을 살살 걷어내고서 씨앗 한 톨을 놓은 다음 새삼스레 손가락으로 흙을 살살 덮으면 끝입니다. 다람쥐하고 새가 나무를 심는 길을 살피면 숲을 어떻게 가꿀 만한지 배울 수 있어요. 이미 이룬 숲에서 나무를 파서 옮겨도 안 나쁘지만, 덤일을 하기보다는 처음부터 새롭게 가꿀 적에 우리 손으로 지을 만합니다. 밭수레로 땅을 갈아엎으면 손쉽게 심거나 돌보아서 거둘 수 있다지요. 그렇지만 호미 한 자루를 쥐고서 천천히 갈거나 훑을 줄 안다면, 늘 노래하며 살림을 찬찬히 북돋웁니다. 생각해 봐요. 커다란 논밭수레가 움직일 적에는 말소리조차 묻혀요. 낫을 버리고서 벼베개(콤바인)를 쓰면 아무도 말을 못 나눠요. 맨드리가 나쁘지 않습니다. 만든것을 쓰는 뜻도 찾아볼 노릇입니다. 그리고 누가 짜놓은 틀을 고스란히 가져다 쓰기보다는 우리 두 손을 사랑스레 움직이면서 차근차근 엮어 나가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족치다 고약한 사람이 따로 있을까요. 괘씸한 놈을 갈라야 할까요. 끔찍한 짓을 어떤 눈으로 달래야 할까요. 몹쓸 나라라면 우리 스스로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요. 괴롭히는 녀석은 어떻게 마주해야 하나요. 제아무리 까드락거리더라도 쳐다볼 일이 없습니다. 나쁜놈은 스스로 옳지 않은 줄 알기도 하지만, 스스로 얼마나 썩었는지 못 볼 수 있습니다. 부라퀴는 발톱을 세운 채 제멋대로 굴 텐데, 스스로 엄니를 번쩍이면서 함부로 구는 줄 모를 수 있어요. 호로놈을 족치면 볼꼴사나운 짓이 사라질까요? 망나니를 마구 두들겨패면 답치기를 걷어낼 만한가요? 막짓을 일삼는 이는 어깨띠를 하고서 우쭐거립니다. 이들은 사람을 발밑에 놓고서 웃짓을 하는데, 앞뒤를 못 가릴 만큼 마음이 텅 비게 마련입니다. 흙으로 돌아가려는 찌꺼기는 잔뜩 냄새를 풍깁니다. 지저분하다고 여길 수 있어요. 그런데 모든 쓰레기는 해바람비 손길을 받으면서 자잘하고 추레한 기운을 모두 내려놓아요. 파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더듬이 발이 빠른 사람하고 느린 사람이 있습니다. 말을 더듬는 사람하고 안 더듬는 사람이 있어요. 그저 그럴 뿐입니다. 글씨가 반듯한 사람하고 날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솜씨가 없는 사람하고 있는 사람이 있습니다. 서로 다를 뿐입니다. 그러나 거친말하고 상냥말은 그저 다르다고 보아야 할까요? 높임말하고 낮춤말은 어떻게 보아야 할까요? 거름이 될 똥오줌이 아닌 똥말에는 어떤 마음이 흐를까요? 쓰레말이나 자잘말은 서로 이바지할 만할까요? 하나하나 본다면, 깎음말은 남을 못 깎아요. 스스로 깎을 뿐입니다. 막말은 남을 못 뜯지요. 스스로 물어뜯는 막말입니다. 볶아대든 구워삶든 스스로 사랑이 사라지는 헛말입니다. 허튼말을 일삼는 사람은 스스로 다치고 피나면서 쓰러집니다. 거침없이 흐르는 물처럼 말을 한다지만, 사랑이 없이 늘어놓기만 할 적에는 마음으로 안 와닿아요. 더듬더듬 꼬이거나 씹히는 말이라 하지만, 사랑을 담아 펼 적에는 마음으로 스며요. 풀벌레한테는 더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42 치움이 청소하는 일을 하기에 ‘청소부(淸掃夫·淸掃婦)’라고 합니다. 이 이름이 이 일을 하는 사람을 낮잡는다고 여겨 ‘환경미화원(環境美化員)’이라는 이름이 새로 생깁니다. ‘-원’을 붙이는 이름도 낮춤말이라 여겨, ‘교원(敎員)·간호원(看護員)’을 ‘교사(敎師)·간호사(看護師)’로 바꾸었어요. 이런 얼거리를 본다면 ‘미화원’ 아닌 ‘미화사’라 할 노릇이겠지요. 이 대목에서 생각해 보아야지 싶습니다. ‘청소부 → 미화원 → 미화사’로 나아가면 낮잡지 않는 말이 될까요? 이름을 바꾸며 생각을 바꾸기도 합니다만, 우리는 겉이름만 바꿀 뿐, 속생각은 안 바꾸는 삶은 아닐까요? 먼저 속생각을 바꿀 적에 겉이름도 제자리를 찾지 않을까요? 1990년대 첫머리를 떠올립니다. 그무렵 ‘도움이(도우미)’라는 이름이 갑자기 태어났어요. 대전에서 세계박람회를 연다며 ‘자원봉사자’나 ‘안내원’ 일을 하는 이한테 ‘도우미’라는 이름을 붙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트집 어떤 말썽이 불거질 적에 누구 때문이라고 여기며 탓할 수 있습니다. 사달이 날 적마다 골치를 앓으면서 잘잘못을 따질 만해요. 골머리를 앓는 온갖 근심걱정을 어떻게 푸나 하고 떠들기도 합니다. 말이 안 되는 일은 왜 일어날까요. 나쁜 일이나 못된 짓은 왜 그치지 않을까요. 부라퀴가 걷히지 않고, 각다귀가 사라지지 않으니, 아무래도 이 나라는 지저분하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얄궂은 일이 자꾸 터지고, 터무니없는 말이 으레 춤추니, 이 터전은 그야말로 멍청하거나 엉터리로 여길 만해요. 그러나 모든 부끄러운 짓은 어느 곳에서만 불거지지 않습니다. 모든 곳이 썩었기에, 우리 스스로 철없는 덩굴에 갇혔기에, 혀를 내두를 만한 궂은 일이 잇따른다고 느껴요. 남을 트집 잡을 수 없습니다. 바로 나부터 어느 대목이 어그러졌나 하고 되새길 노릇입니다. 시끄러운 일은 서울뿐 아니라 시골에도 수두룩합니다. 시골에서 벼슬꾼이 뒷돈을 주고받으면서 벌이는 고약한 짓이 안 알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말빛 오늘말. 팽팽하다 저는 따로 마실만 다니지 않습니다. 시골집에서 읍내로 저잣마실을 다녀온다든지, 자전거를 몰고 우체국으로 글월마실을 다녀온다든지, 이웃고장에 이야기마실을 다녀오며 책숲마실을 하기는 하지만, 이름을 붙이기로 ‘마실’일 뿐입니다. 먼길을 오가며 부릉이(버스)에 몸을 싣되, 이밖에는 두 다리로 걷거나 자전거를 탑니다. 따로 걸음마실을 하지 않습니다. 여느때에 걸을 일이 없는 숱한 서울사람이 뚜벅마실을 합니다. 예전에는 서울내기(도시인)도 그리 멀잖으면 가볍게 거닐며 하늘바라기에 들꽃바라기에 바람바라기였다면, 바쁘게 다투거나 팽팽하게 맞서야 하는 고단한 나날을 보내면서 그만 걷기를 잃고 말아요. 서둘러 가야 하니 부릉부릉 몰아요. 얼른 오가야 하니 부릉부릉 매캐한 내음을 일으킵니다. 누구나 으레 걷던 무렵에는 책꾸러미가 없더라도 느긋이 책 몇 자락씩 읽고 누리던 살림이라면, 거님길을 잊으면서 책읽기하고 등지는구나 싶어요. 옥신각신 불꽃튀는 삶은 고달프니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늘말’은 오늘 하루 생각해 보는 우리말 이야기입니다. 이 낱말 하나를 혀에 얹고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적으면서 생각을 새롭게 가꾸어 보면 좋겠습니다. 숲노래 우리말 오늘말. 휩쓸리다 아이들은 가볍게 걷습니다. 적잖은 어른은 아이들이 함부로 움직인다고 여기곤 하지만, 아이들 발걸음은 춤짓입니다. 마구 구는 아이들이 아닌, 한 발짝을 떼는 작은 몸짓조차 춤노래로 즐기는 웃음꽃입니다. 아이들은 오두방정을 떨지 않아요. 아이들은 마음을 쏟을 곳이 있으면 한나절이고 두나절이고 꼼짝을 않고서 지켜볼 수 있어요. 배고픈 줄 잊고서 뛰놀아요. 겉으로 훑을 적에는 어린이 마음도 못 읽지만, 풀꽃 속내도 못 읽고, 빗방울 이야기도 못 느끼게 마련입니다. 어린이가 훌륭히 자라기를 바라지 말아요. 어른부터 스스로 아름답게 살림을 가꾸면서 사랑스럽게 하루를 지으면 됩니다. 뛰어나거나 빼어나게 재주를 키워도 안 나쁘되, 이보다는 마음을 가다듬고 목소리를 추슬러서 언제나 곱게 얘기하고 생각을 드러내면 넉넉하다고 느껴요. 남한테 내보일 재주가 아닙니다. 하루를 일굴 자그마한 손길입니다. 춥네 덥네 호들갑을 떨지 말고, 날씨를 우리 마음으로 다스려 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