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하루 우리말 노래 : 흰웃옷 다리꽃 볏짚말이 길죽음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하루 우리말 노래

우리말 새롭게 가꾸기

 

85. 흰웃옷
속에 받치는 흰빛인 웃옷이라면 ‘흰 + 웃옷’처럼 엮으면 어울린다. 우리나라는 아직 이 흰웃옷을 가리키는 말을 일본에서 받아들인 일본영어인 ‘와이셔츠’를 고지식하게 쓰는데, 영어조차 아니고 우리 삶하고도 동떨어진 엉뚱한 말씨는 얼른 걷어내야지 싶다. ‘셔쓰’냐 ‘셔츠’로 다툴 까닭이 없다. ‘웃옷·윗도리’라 하면 되고, ‘적삼·저고리’ 같은 우리말이 버젓이 있다.


흰웃옷(희다 + ㄴ + 웃 + 옷)
: 속에 받치는 흰빛인 웃옷으로 깃이 있고 소매가 있으며, 깃에는 댕기를 맬 수 있다. 하늬녘 차림이다. (= 흰윗도리·흰적삼·흰저고리·하얀웃옷·하얀윗도리·하얀적삼·하얀저고리·저고리·적삼·윗옷·윗도리·위. ←셔츠shirt/샤쓰シャツ, 와이셔츠ワイシャツ·Yシャツ/white shirt·dress shirt/와이샤쓰)

 

 

86. 다리꽃
흔히 ‘장애인 이동권’을 말하는데, 그냥 ‘다리꽃’을 말해야 알맞다고 느낀다. ‘어린이 다리꽃’이며 ‘아기 다릿날개’를 펼 적에는 누구나 홀가분하면서 즐겁고 느긋하게 어디이든 오갈 만하다. 아기는 어버이가 안거나 업거나 아기수레에 태워야 길을 다닐 수 있다. 그런데 숱한 곳은 어버이가 아기를 안거나 업으며 다니기에 벅차거나 까다롭다. 적잖은 곳은 어버이가 아기수레를 밀면서 다니기 나쁠 뿐 아니라, 아예 못 다닐 만한 곳도 수두룩하다. 우리 다리로 거닐려는 곳이 꽃길로 피어나도록 ‘다리꽃’을 살피자. 누구나 다리에 날개를 달면서 즐겁게 어울릴 터전으로 가꾸자.


다리꽃 (다리 + 꽃) : 어느 곳이든 스스로 움직이면서 다닐 수 있는 길을 누리는 삶. 또는 누구나 어느 곳이든 스스로 움직이면서 다닐 수 있는 길을 누리도록 나라·둘레·마을에서 널리 헤아리는 얼거리나 틀. (= 다릿날개. ← 이동권移動權)

 

 

87. 볏짚말이
지난날에는 볏짚을 알뜰히 건사했다. 볏짚으로 새끼줄을 꼬고, 짚신을 삼고, 지붕을 잇는다. 오늘날에는 볏짚을 거의 안 쓴다. 오늘날 벼는 지난날과 달리 키가 작아 짚도 작다. 이제는 볏짚을 거의 소먹이로 쓰느라, 가을에 벼베기를 마치면 동그랗게 말아 놓는다. 이 모습 그대로 ‘볏짚말이’라 하면 된다.


볏짚말이 : 가을에 벼를 베어 낟알을 떨구고 남는 짚을 말아 놓은 것. 네모낳게 뭉쳐서 볏짚단을 이루기도 하고, 흔히 동그랗게 말아 놓는다. (= 볏짚단. ← 원형 곤포 사일리지(圓形 梱包 silage)

 

 

88. 길죽음
그만 길에서 죽는 사람이 있다. 예전에는 숲짐승이나 들짐승이 길에서 죽는 일이 없다시피 했다. 그런데 이제는 두 가지 ‘길죽음’이 있다. 사람도 슬프게 길에서 죽고, 숱한 짐승도 길에서 부릉부릉 쇳더미에 치이거나 밟혀서 죽는다. ‘치여죽다’가 길죽임인 셈이고, 벼락죽음이요 슬픈죽음이다. 이웃이나 동무가 없이 홀로 길에서 죽으면 쓸쓸죽음에 외죽음이다. ‘길눈물’을 그칠 수 있도록 부릉부릉 내달리는 길을 줄여야 할 텐데 싶다.


길죽음 (길 + 죽다 + ㅁ) : 길에서 죽음. 숨을 다하여 길·바깥·한데에서 죽는 일이나 주검. 길에서 자동차에 치여서 죽는 일이나 주검. (= 길에서 죽다·길주검·길눈물·치여죽다·슬픈죽음·개죽음·벼락죽음·슬픈죽음·쓸쓸죽음·외죽음. ← 로드킬, 객사客死, 사고事故, 교통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