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곁말’은 곁에 두면서 마음과 생각을 살찌우도록 징검다리가 되는 말입니다. 낱말책에는 아직 없습니다. 글을 쓰는 숲노래가 지은 낱말입니다. 곁에 어떤 낱말을 놓으면서 마음이며 생각을 빛낼 적에 즐거울까 하고 생각하면서 ‘곁말’ 이야기를 단출히 적어 봅니다.
숲노래 말빛
곁말 76 함박구름
달종이(달력)를 보면서 날을 세지는 않지만, 어릴 적에는 늘 달종이를 하나하나 세면서 “오늘은 어떤 날씨일까? 오늘은 어떤 구름일까? 오늘은 바람이 어떤 결일까? 오늘은 해가 언제 어디에서 뜨고 언제 어디로 질까?” 하고 꼬박꼬박 살피고 마음에 담았습니다. 여덟 살부터 날마다 이처럼 보내고 보니 열 살 즈음부터는 날씨알림(일기예보)보다 제 살느낌이 날씨를 바로 맞춥니다. 다만 여름에는 종잡지 못하겠더군요. 여름에는 소나기랑 무지개가 갑작스레 찾아오니까요. 구름 한 조각이 없던 하늘에 문득 구름송이가 생기고, 어느새 몽실몽실 위로 뻗을라치면 “아, 뭉게구름이다! 저쪽에서는 비가 올까?” 궁금한데, 이 뭉게구름은 느린 듯하면서 빨라요. 우리가 노는 쪽으로 다가오면 “얘들아, 비 오겠어! 달아나자!” 하고 외칩니다. 동무들은 “비? 구름도 없는데 무슨 비야?” “저기 뭉게구름이 다가오잖아.” “웃기지 마.” 뭉게구름은 어느새 우리 머리 위를 스치고 벼락처럼 굵은 빗방울이 와락 쏟아지고 지나갑니다. 뭉게구름은 마치 언제 비가 왔느냐는 듯이 시치미를 떼고 저리 갑니다. 이 뭉게구름을 1990년을 넘어선 뒤로 거의 못 봅니다. 다들 어디 갔을까요? 그래도 요새는 아주 커다란 구름인 ‘함박구름’을 늘 만나요.
ㅅㄴㄹ
함박 ㄴ (함지박) : 1. 속에 넉넉히·잔뜩·많이 담을 수 있도록 통나무를 둥그렇게 움푹 파서 쓰는 그릇. 2. 겉으로 드러나는 길이·넓이·높이·부피 같은 모습이 여느 것·다른 것보다 더 되거나 더 있거나 넘거나 넉넉히 남을 만하다.
함박구름 : 굵고 크게 피어난 구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