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물날 이레말 - 한자말 17 낙원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숲노래 우리말

물날 이레말 - 한자말 17 낙원 樂園

낙원을 건설하다 → 보금터를 짓다

기쁘고 살기 좋은 낙원으로 만들려면 → 기쁘고 살기 좋게 꽃누리로 이루려면

낙원을 이룩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 새터를 이룩하는 첫걸음이라고

아름다운 낙원에 먼저 가 계실지 → 아름나라에 먼저 가셨을지

‘낙원(樂園)’은 “1. 아무런 괴로움이나 고통이 없이 안락하게 살 수 있는 즐거운 곳 2. 고난과 슬픔 따위를 느낄 수 없는 곳이라는 뜻에서, 죽은 뒤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기쁨누리·기쁨나라’나 ‘꽃누리·꽃나라·꽃동산·꽃마을·꽃자리·꽃터’나 ‘고운자리·고운터·꿀나라·달콤나라’로 고쳐씁니다. ‘보금누리·보금나라·보금터·별누리·별터’나 ‘사랑누리·사랑나라·사랑터’로 고쳐쓰고, ‘아름나라·아름누리·아름자리·아름터’나 ‘새누리·새나라·새터·새마을·숲나라·숲누리’나 ‘포근누리·포근나라·하늘누리·하늘나라·하늘터’로 고쳐씁니다.

 

ㅅㄴㄹ​

인간도 아니고 기계도 아닌 존재들이 모여 자유롭게 살고 있는 지상의 낙원이지요

→ 사람도 아니고 기계도 아닌 이가 모여 홀가분하게 사는 꽃누리이지요

→ 사람도 아니고 기계도 아닌 숨결이 모여 마음껏 사는 아름누리이지요

→ 사람도 아니고 기계도 아닌 우리가 모여 즐겁게 사는 기쁨누리이지요

《기계전사109 2》(노진수·김준범, 서울문화사, 1993) 135쪽

꿈의 낙원으로 널 데려갈 거야

→ 꿈나라로 널 데려가지

→ 꿈 같은 곳으로 널 데려가

《신비한 밤 여행》(헬메 하이네/김서정 옮김, 시공주니어, 1998) 13쪽

생각은 온 지구를 꽃피는 낙원 동산으로 바꾸어 놓아야 해

→ 생각은 온누리를 꽃피는 뜰로 바꾸어 놓아야 해

→ 생각은 푸른별을 온통 꽃누리로 바꾸어 놓아야 해

《아나스타시아 6 가문의 책》(블라지미르 메그레/한병석 옮김, 한글샘, 2011) 111쪽

이곳이 바로 지상낙원

→ 이곳이 바로 아름터

→ 이곳이 바로 아름누리

《경계의 린네 26》(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8) 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