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쇠날 이레말 - 사자성어 6 반려식물, 반려동물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이레말’은 이레에 맞추어 일곱 가지로 들려주는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말에 슬기롭고 즐거우면서 곱게 담아내는 길을 밝히려고 합니다. 이레에 맞추어 다음처럼 이야기를 폅니다.
달날 - 의 . 불날 - 적 . 물날 - 한자말 . 나무날 - 영어 . 
쇠날 - 사자성어 . 흙날 - 외마디 한자말 . 해날 - 겹말

 

쇠날 이레말 6

반려식물

​​

정을 나누며 반려식물을 기르는 것이다 → 마음 나누며 벗풀을 기른다

우리 집 반려식물입니다 → 우리 집 풀꽃입니다

반려식물 : x

반려(伴侶) : 짝이 되는 동무 ≒ 동려(同侶)

식물(植物) : [식물] 생물계의 두 갈래 가운데 하나. 대체로 이동력이 없고 체제가 비교적 간단하여 신경과 감각이 없고 셀룰로스를 포함한 세포벽과 세포막이 있다

​곁에 두는 짐승이나, 벗으로 함께 지내는 짐승이 있습니다. 이처럼 곁에 두는 풀하고 벗처럼 함께 지내는 풀이 있어요. 곁에 두기에 ‘곁풀·곁풀꽃’이나 ‘곁꽃’이라 할 만합니다. 수수하게 ‘뜰꽃·뜨락꽃·마당꽃’이라 해도 되고, ‘벗나무·벗풀’ 같은 이름도 어울립니다. 집에 함께 있다는 뜻으로 ‘집꽃·집풀’이라 해도 되고요. ㅅㄴㄹ

고독을 벗삼은 저자들이 자신의 반려식물인 선인장을 주제로

→ 외로움을 벗삼은 글님이 곁풀인 선인장을 글감으로

→ 쓸쓸함을 벗삼은 글님이 집꽃인 선인장을 줄거리로

《책은 죽었다》(셔먼 영/이정아 옮김, 눈과마음, 2008) 19쪽

반려식물 소개

→ 우리 곁풀

→ 곁풀꽃입니다

《내 방의 작은 식물은 언제나 나보다 큽니다》(김파카, 카멜북, 2020) 6쪽

 

반려동물

함께 살아가는 반려동물이자 가족이다 → 함께 살아가는 곁짐승이자 한집안이다

반려동물의 죽음으로 인해 → 벗짐승이 죽으며

반려동물과의 소통이 중요하다 → 집집승과 한마음이어야 한다

반려동물(伴侶動物) : 사람이 정서적으로 의지하고자 가까이 두고 기르는 동물. 개, 고양이, 새 따위가 있다

​​

어느덧 ‘반려동물’이라는 한자말을 낱말책에 싣습니다. ‘애완동물’이란 한자말에서 ‘애완’이 썩 안 좋다고 여겨 새말을 지었는데, 조금 더 생각한다면 ‘반려’라는 한자말은 “곁에 있다”거나 “벗이 된다”는 뜻이니, ‘곁짐승·곁이’안 ‘벗짐승’처럼 한결 쉬우며 부드러이 새말을 지을 만해요. 때로는 수수하게 ‘집짐승’이라 하면 되고, ‘곁벗·온벗·참벗’처럼 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

반려동물을 잃고 ‘펫로스pet-loss’로 괴로워한 경험이 있거나

→ 벗짐승을 잃고 괴로워한 적이 있거나

→ 한집짐승을 잃고 ‘죽음앓이’로 괴로워한 적이 있거나

《사향고양이의 눈물을 마시다》(이형주, 책공장더불어, 2016) 161쪽

심지어 여러 반려동물들도 같이 와서 머물 수 있는 공간이었어요

→ 더구나 여러 벗짐승도 같이 와서 머물 수 있는 곳이었어요

→ 더구나 여러 집짐승도 같이 와서 머물 수 있는 곳이었어요

《언니, 같이 가자!》(안미선, 삼인, 2016) 200쪽

반려동물이라고 부르게 되었어요

→ 곁짐승이라고 해요

→ 벗짐승이라고 해요

《선생님, 평화가 뭐예요?》(배성호·김규정, 철수와영희, 2019) 12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