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말 좀 생각합시다 11 나의 사랑 너의 눈물

URL복사

[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말 좀 생각합시다’는 우리를 둘러싼 숱한 말을 가만히 보면서 어떻게 마음을 더 쓰면 한결 즐거우면서 쉽고 아름답고 재미나고 사랑스레 말빛을 살리거나 가꿀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다루려고 합니다.

 

말 좀 생각합시다 11

 나의 사랑 너의 눈물

 

  어린이가 읽는 글을 쓰는 사람은 글결을 가다듬으려고 더 마음을 기울입니다. 어른이 읽는 글을 쓰는 사람도 글결을 가다듬기는 하지만, 이보다는 글멋을 부리는 데에 더 마음을 기울입니다.


  어린이가 읽는 글에 아무 낱말이나 함부로 넣는 어른이 더러 있을 테지만, 어린이가 읽는 글을 엮어서 책을 펴내는 어른이라면, 낱말 하나와 토씨 하나까지 꼼꼼히 보기 마련입니다. 어린이는 글이나 책을 읽으면서도 ‘우리말을 배우’거든요.


  어른은 글이나 책을 읽으면서 무엇을 할까요? 어린이가 글이나 책으로도 말을 배우듯이, 어른도 글이나 책으로도 말을 배울까요? 아니면, 어른은 글이나 책에 깃든 줄거리만 받아들일까요?


  어린이는 글 한 줄이나 책 한 자락을 놓고도 말을 깊고 넓게 배웁니다. 어른은 이녁 스스로 못 느낄 테지만 어른도 글 한 줄이나 책 한 자락을 놓고 시나브로 말을 깊고 넓게 배웁니다. 어른도 글이나 책으로 읽는 ‘글 한 줄’이나 ‘말 한 마디’를 머리와 마음에 아로새겨요. 글이나 책을 읽은 사람은 누구나 나중에 ‘글이나 책에서 읽은 낱말’이 익숙하기에 문득 튀어나오기 마련이에요.


  글을 쓰는 어른이 ‘어른만 읽는 글’을 쓴다고 하더라도, 어른부터 말을 늘 새롭게 배우는 사람인 줄 헤아린다면 아무 글이나 섣불리 쓰지 않으리라 봅니다. 글을 쓰는 어른이 ‘어린이가 함께 읽는 글’을 쓰려 한다면, 아무래도 어린이 눈높이를 더 헤아릴 테고 ‘어린이가 새롭게 배울 우리말을 슬기롭게 바라보면서 다루는 사랑’을 담으려고 마음을 쏟을 테지요.


  우리말은 “내 사랑 네 눈물”이거나 “우리 사랑 너희 눈물”입니다. ‘나의·너의’나 ‘우리의·저희의’를 쓴다고 해서 글꽃(문학)이 되지 않습니다. ‘내·네’를 슬기롭게 쓰면서 글결을 곱게 꽃피우는 넋을 그려 봅니다. 요새는 어린이책이나 그림책에까지 ‘나의·너의’를 무턱대고 쓰는 분이 늘어나는데, ‘우리’가 쓸 말에 어른이라는 ‘내’가 스스로 빛나는 말씨앗을 담아내면 좋겠습니다. ㅅㄴ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