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겨레소리 숲노래 글님 ]
‘오락가락 국어사전’은 국어사전이란 이름으로 나오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낱말풀이를 살피면서 잘못되거나 엉뚱하거나 뒤틀리거나 엉성하구나 싶은 대목을 하나하나 짚으면서, 앞으로 어떻게 추스르거나 바로잡거나 고쳐야 우리말꽃을 살찌울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꼭지입니다.
돌림풀이 아닌 제풀이 생각하기
[오락가락 국어사전 10] 으뜸으로 삼을 말이란
우리말꽃을 살피면 막상 이 낱말책이 우리말을 으뜸으로 안 삼는 얼거리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우리말꽃이 우리말을 으뜸으로 안 삼으면 어떤 낱말책이 될까요? 이런 낱말책이 우리말에 이바지할 수 있을까요? 뜻풀이를 어떻게 붙이고, 비슷한말이나 한자말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를 가누지 못한다면, 한글이 아무리 훌륭하다 외치더라도, 이 훌륭한 글에 알맹이인 말을 제대로 싣기 어렵습니다. 돌림풀이 아닌 제풀이를 할 노릇이면서,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살찌우는 길을 함께 찾을 노릇입니다.
제일(第一) 1. 여럿 가운데서 첫째가는 것 2. 여럿 가운데 가장
가장 : 여럿 가운데 어느 것보다 정도가 높거나 세게
첫째가다 :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꼽히거나 으뜸이 되다
우선적(優先的) : 딴 것에 앞서 특별하게 대우하는
으뜸 : 1. 많은 것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 또는 첫째가는 것 2. 기본이나 근본이 되는 뜻
한자말 ‘제일’은 “→ 첫째가는. 가장”으로 다루면 좋습니다. ‘우선적’은 “→ 먼저. 맨 먼저”로 다룰 만하고요. 그런데 낱말책을 살피면 ‘첫째가다’하고 ‘으뜸’이 돌림풀이입니다. 찬찬히 추슬러 줄 노릇입니다.
관목(灌木) : [식물] 키가 작고 원줄기와 가지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으며 밑동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나무. ‘떨기나무’로 순화
떨기나무 : [식물] = 관목
‘떨기나무’로 고쳐쓸 ‘관목’이라면, ‘관목’이라는 낱말에 풀이를 달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나 낱말책은 이렇게 하지 않고 ‘떨기나무’를 “= 관목”으로 다루고 맙니다. ‘관목’은 “→ 떨기나무”로 다룰 노릇입니다.
대치(對峙) : 서로 맞서서 버팀
맞서다 : 1. 서로 마주 서다 2. 서로 굽히지 아니하고 마주 겨루어 버티다 3. 어떤 상황에 부닥치거나 직면하다
맞붙다 : 1. 서로 마주 닿다 2. 싸움이나 내기 따위에서 서로 상대하여 겨루다 3. 서로 떨어지지 아니하고 함께하다
버티다 : 1. 어려운 일이나 외부의 압력을 참고 견디다 2. 어떤 대상이 주변 상황에 움쩍 않고 든든히 자리 잡다 3. 주위 상황이 어려운 상태에서도 굽히지 않고 맞서 견디어 내다 4. 쓰러지지 않거나 밀리지 않으려고 팔, 다리 따위로 몸을 지탱하다
견디다 : 1. 사람이나 생물이 일정한 기간 동안 어려운 환경에 굴복하거나 죽지 않고 계속해서 버티면서 살아 나가는 상태가 되다 2. 물건이 열이나 압력 따위와 같은 외부의 작용을 받으면서도 일정 기간 동안 원래의 상태나 형태를 유지하다 3. 사람이나 생물이 어려운 환경에 굴복하거나 죽지 않고 계속해서 버티면서 살아 나가는 상태가 되다
‘맞서다’하고 ‘맞붙다’가 있습니다. 결이 살짝 다르면서 비슷한 낱말입니다. 한자말 ‘대치’를 “서로 맞서서 버팀”으로 풀이하기보다는 “→ 맞서다. 맞붙다”로 다루면 좋겠습니다. 더구나 ‘맞서다·버티다’를 나란히 적은 겹말풀이가 되기까지 합니다. 더 살피면 ‘버티다’ 뜻풀이에 ‘견디다’를 넣어 돌림풀이가 되니, 이 대목도 더 손봐야겠지요.
위안(慰安) : 위로하여 마음을 편하게 함. 또는 그렇게 하여 주는 대상
위로(慰勞) : 따뜻한 말이나 행동으로 괴로움을 덜어 주거나 슬픔을 달래 줌
달래다 : 1. 슬퍼하거나 고통스러워하거나 흥분한 사람을 어르거나 타일러 기분을 가라앉히다 2. 슬프거나 고통스럽거나 흥분한 감정 따위를 가라앉게 하다 3. 좋고 옳은 말로 잘 이끌어 꾀다
어르다 : 1. 몸을 움직여 주거나 또는 무엇을 보여 주거나 들려주어서,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기쁘게 하여 주다 2. 사람이나 짐승을 놀리며 장난하다 3. 어떤 일을 하도록 사람을 구슬리다
다독이다 : 1. 흩어지기 쉬운 물건을 모아 가볍게 두드려 누르다 2. 아기를 재우거나 달래거나 귀여워할 때 몸을 가만가만 두드리다 3. 남의 약한 점을 따뜻이 어루만져 감싸고 달래다
‘위안’은 ‘위로’를 가리키고, ‘위로’는 ‘달래다’를 가리켜요. ‘달래다’하고 비슷한 ‘가라앉히다’나 ‘어르다’나 ‘다독이다’가 있습니다. 이 여러 낱말이 다르면서 비슷한 결을 돌림풀이 아닌 제풀이를 해야겠고, ‘위안·위로’는 “→ 달래다. 다독이다. 어르다”로 다루면 됩니다.
사고하다(思考-) : 생각하고 궁리하다
궁리하다(窮理-) : 1. 사물의 이치를 깊이 연구하다 2. 마음속으로 이리저리 따져 깊이 생각하다
“생각하고 궁리하다”를 뜻한다는 ‘사고’라는데, ‘궁리’는 ‘생각’을 가리키는 한자말이지요. 그렇다면 ‘사고하다 = 생각하고 생각하다’인 꼴이니 엉성합니다. ‘사고·궁리’는 모두 “→ 생각”으로 다룰 노릇입니다. ‘생각’ 말풀이를 깊이 짚는다면 이런 엉성한 풀이는 사라지리라 봅니다.
맹세(盟誓) : 일정한 약속이나 목표를 꼭 실천하겠다고 다짐함 ≒ 서맹(誓盟)
다짐 : 1. 이미 한 일이나 앞으로 할 일에 틀림이 없음을 단단히 강조하거나 확인함 2. 마음이나 뜻을 굳게 가다듬어 정함
약속(約束) : 다른 사람과 앞으로의 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미리 정하여 둠. 또는 그렇게 정한 내용 ≒ 권약
‘다짐’하는 일이 바로 ‘맹세’입니다. 어떻게 하기로 할 적에 ‘약속’이라는 한자말도 쓰는데, 이 또한 ‘다짐’이에요. ‘다짐’ 말풀이를 찬찬히 갈무리하면서 쓰임새를 넓혀 주어야지 싶습니다. ‘맹세·약속’은 “→ 다짐”으로 다루면 됩니다.
외면(外面) : 1. 마주치기를 꺼리어 피하거나 얼굴을 돌림 2. 어떤 사상이나 이론, 현실, 사실, 진리 따위를 인정하지 않고 도외시함
꺼리다 : 1. 사물이나 일 따위가 자신에게 해가 될까 하여 피하거나 싫어하다
도외시(度外視) : 상관하지 아니하거나 무시함
무시하다(無視-) : 1. 사물의 존재 의의나 가치를 알아주지 아니하다 2. 사람을 깔보거나 업신여기다
얼굴을 돌린다는 ‘외면’은 ‘등돌리다’로 손볼 만합니다. ‘꺼리다’하고도 맞물립니다. 낱말책은 ‘외면’을 ‘도외시’로 풀이하고, ‘도외시’를 ‘무시’로 풀이해요. 이러면서 다른 낱말을 엿볼 수 있으니, ‘외면’은 “→ 등돌리다. 꺼리다”로 다루고, ‘도외시’는 “→ 등돌리다. 업신여기다. 모른 척하다”로 다루며, ‘무시하다’는 “→ 업신여기다. 깔보다. 얕보다. 몰라주다”로 다루면 됩니다.
겉쪽 : = 표면
겉면(-面) : 겉에 있거나 보이는 면 ≒ 외면(外面)
외면(外面) : 1. = 겉면 2. 말이나 하는 짓이 겉에 드러나는 모양
표면(表面) : 1. 사물의 가장 바깥쪽. 또는 가장 윗부분 ≒ 겉쪽 2. 겉으로 나타나거나 눈에 띄는 부분
‘겉쪽’을 “= 표면”으로 다뤄야 하지 않습니다. ‘표면’을 “→ 겉쪽”으로 다뤄야지요. ‘겉면·외면’도 “→ 겉쪽”으로 다루면 됩니다. 겉으로 드러나거나 보이는 쪽이니 ‘겉쪽’입니다. ‘겉자리’ 같은 낱말도 함께 쓸 만합니다.
파도(波濤) : 1. 바다에 이는 물결 ≒ 도란(濤瀾)·도파(濤波) 2. 맹렬한 기세로 일어나는 어떤 사회적 운동이나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강렬한 심리적 충동이나 움직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물결 : 1. 물이 움직여 그 표면이 올라갔다 내려왔다 하는 운동. 또는 그 모양 ≒ 수파(水波) 2. 파도처럼 움직이는 어떤 모양이나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파도’를 ‘물결’로 풀이하는 낱말책인데, ‘물결’ 둘째 뜻을 ‘파도’로 풀이하면서 뜬금없지요. 처음부터 ‘물결’ 한 마디를 쓰면 됩니다. ‘파도’는 “→ 물결”로 다루면 됩니다.
소멸(消滅) 1. 사라져 없어짐 ≒ 소망(消亡)·시멸 2. [물리] 반입자와 소립자가 서로 합체하여 그 정지 에너지를 다른 입자의 형태로 내보냄. 또는 그런 과정
사라지다 : 1. 현상이나 물체의 자취 따위가 없어지다 2. 생각이나 감정 따위가 없어지다 3. ‘죽다’를 달리 이르는 말
없어지다 : 1. 어떤 일이나 현상이나 증상 따위가 나타나지 않게 되다 2. 사람이나 사물 또는 어떤 사실이나 현상 따위가 어떤 곳에 자리나 공간을 차지하고 존재하지 않게 되다 3. 성립되지 않다 4. 그 자리를 떠서 보이지 않게 되다
‘사라지다’하고 ‘없어지다’는 비슷한말입니다. 한자말 ‘소멸’을 “사라져 없어짐”이라 풀이하면 엉뚱한 겹말풀이입니다. 그런데 낱말책은 ‘사라지다’를 ‘없어지다’로 풀이하니 얄궂어요. ‘소멸’은 “→ 사라지다. 없어지다”로 다루고, ‘사라지다·없어지다’ 말풀이를 손질할 노릇입니다. ㅅㄴㄹ